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4

펜타일과 RGB 스트라이프의 가독성, 해상력에 대하여. 이전에 펜타일과 RGB 스트라이프에 대한 글을 올린적이 있었습니다. (삼성 슈퍼 HD 아몰레드, 그리고 펜타일과 RGB stripe) 허접한 제 블로그에서 나름 히트친 몇 안 되는 글 중의 하나이지요. (다음 뷰 클릭을 부탁하지도 않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30번 넘게 클릭되었다는건 엄청난 일) 그런데 사실 저걸 작성해놓고도 영 찜찜했습니다. 한참 지나서야 펜타일과 RGB 스트라이프를 비교하는데 픽셀피치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알아듣기 쉽다는걸 깨달은 거지요. 하지만, 수정하기엔 너무 늦어버렸고, 수정이 쉽지도 않았지요. 갤럭시S3 의 디스플레이를 예측하는 겸 해서 픽셀피치 개념을 사용해서 펜타일과 RGB 스트라이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기본 개념은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왼쪽과 같은 .. 2012. 3. 29.
Lenovo K800 으로 보는 안드로이드에서 아톰의 성능. (http://www.chiphell.com/thread-388275-1-1.html) Lenovo K800 은 인텔의 아톰 Z2460 탑재입니다. - Atom Z2460 CPU : 1.6GHz 싱글코어(HT 지원) GPU : SGX540 400MHz Lenovo K800 - Atom Z2460 - 램 1GB (부트 영역 350MB) - 내장 16GB 메모리 (실제 사용 가능 10 + 1.6 GB) - 4.5 인치 1280 x720 4.5인치 1280 x 720 상단. 전원버튼. 3.5mm 잭. 하단. 마이크로 USB 포트. 상단과 하단 일부에는 망사같은 구조가 있는데, (해석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하단에만 실제로 구멍이 있고, 이는 스피커라고 합니다. 800만 화소 오토 포커스 지원 카메라. 듀얼 .. 2012. 3. 24.
갤럭시 S3 플랫폼과 스펙 추정. 저번 포스트로 갤럭시 S3 에 엑시노스 5250 이 탑재될 것이라는 소설을 써봤으니, (갤럭시 S3 에 들어갈 AP는? 엑시노스 4412 vs 엑시노스 5250) 이번에는 새로운 루머들과 변화된 상황을 반영한 새로운 소설을 써볼까합니다. 왜 소설이냐하면... 삼성 무선 사업부나 관련 협력 업체의 관계자도 아니고, 그런 정보 루트도 갖고 있지 않은 저의 상황에서, 제 아무리 주변 정황을 근거로 추측을 해봤자 그건 소설이지요. 완전 픽션은 아니고, 약간이나마 팩트가 섞여있는 팩션(Faction = Fact + Fiction) 정도가 되겠지요. (이 이미지는 루머일뿐, 실제 제품과의 연관성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핵심만 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갤럭시 S3 에 들어가는 AP는 Cortex-.. 2012. 3. 22.
Apple A5X 분석 (The new iPad) (2) 이전 포스트의 보충 포스팅입니다. (Apple A5X 분석 (The new iPad)) iFixit 에서 신형 아이패드 분해샷이 떠서, 그걸 토대로 A5X 다이사이즈를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게되었습니다. (http://www.ifixit.com/Teardown/iPad-3-4G-Teardown/8277/3) 맨 오른쪽 청록색 박스는 퀄컴 MDM9600 입니다. 베이스밴드칩을 인피니언 대신 퀄컴걸 사용한다더니, 정말이었네요. 스냅드래곤과 함께 쓰지 않으면 음성통화가 불가능이지만, 아이패드는 통화를 지원하지 않으니 별 상관없지요. (여담이지만 인피니언 모바일칩 사업부는 인텔이 인수한 상태. 덕분에 아톰은 인피니언 베이스밴드칩과 짝을 이룸.) 노란색 박스는 도시바의 16GB 낸드플래시. 제품에 따라 하이닉스.. 2012. 3. 17.
갤럭시 S3 에 들어갈 AP는? (2) 새로운 정보가 있어서, 얼마 전 포스트의 후속 포스트입니다. (갤럭시 S3 에 들어갈 AP는? 엑시노스 4412 vs 엑시노스 5250) 새로운 정보는 크게 세가지 입니다. - Exynos 5250 관련 정보. - 갤럭시 S3 의 베이스밴드칩 정보. - 갤럭시 S3 3월 22일 발표 루머. - Exynos 5250 관련 정보. http://news.mydrivers.com/1/221/221234.htm 요약하면, 1. 엑시노스 5250 은 28nm 공정. 2. 올해 말에 탑재 제품이 출시 예정. 3. Cortex-A15 기반 2.0GHz 듀얼코어이고, big.LITTLE 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 4. 메모리 대역폭은 12.8GB/s 5. GPU는 Mali-T604 쿼드코어로, Mali-400 에 .. 2012. 3. 16.
린팩으로 계산해보는 아이패드2, 아이폰4S 클럭 이 계산은 몇가지 가정을 전제로 이루어졌기때문에, 확실한 사실이 아닌 가능성의 하나로 받아들이면 되겠습니다. 애플측에서는 아이패드2 와 아이폰 4S 에 탑재된 A5 의 클럭에 대해 1GHz 라고 밝히고 있지만, 실제 클럭이 그러한지는 의문이 많습니다. 애플 제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벤치마크 앱이 Greekbench 인데, 최근의 버전 업 이전에는 테스트 이후 시스템 정보에서 1GHz 라는 클럭이 등장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게다가 아이폰 4S 는 아이패드2 의 80% 수준의 성능을 보여, 다운클럭이 거의 확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클럭은 여전히 미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동안 축적된 린팩 결과를 통해서 아이패드2 와 아이폰 4S 에 탑재된 A5 의 클럭을 추측해.. 2012. 3. 13.
APPLE The new iPad 그래픽 성능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1&D=Apple+iPad+3&testgroup=overall 드디어 떳습니다. 신형 아이패드 벤치마크 결과. (The new iPad) 역시 SGX543 이였습니다. SGX543MP4 겠지요. iOS 가 원래 시스템 정보가 횡한데, 이번에도 역시나 입니다. 스크린 사이즈는 오류가 있는듯. 딱봐도 엄청난 수치들. Offscreen 720p 이집트/프로가 140.9 Fps/252.1 Fps 아이패드2 의 결과와 제법 차이가 나지만, 두배까지는 아닙니다. 아이패드2 의 SGX543MP2 보다 클럭은 낮다는 반증입니다. (차후에 더 높은 결과가 올라온다면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만, 현재로는 그렇습니다.) .. 2012. 3. 13.
팬택의 스냅드래곤S4 탑재 스마트폰 스펙, 성능 (IM-A830S) T store 개발자 센터에 스펙이 진작에 뜨고, 어제는 팬택에서 원칩 LTE폰을 가장 먼저 (4월 중) 출시한다고 언론에서 떠들더니, GLBenchmark 에 테스트 결과가 떴네요. (티스토어 개발자센터 : http://211.234.235.65/devpoc/phone/phoneView.omp?phoneModelCd=IM-A830S) 스냅드래곤 S4 탑재폰을 놓고 원칩 LTE폰이라고 하는건, 스냅드래곤 S4 라는 AP에 2G/3G/LTE 지원 베이스밴드칩이 통합되기때문입니다. 기존의 LTE폰들이 AP + 3G/LTE 베이스밴드칩의 2칩 구조이거나, AP + 3G 베이스밴드칩 + LTE 베이스밴드칩의 3칩 구조인데 반해, 스냅드래곤 S4 는 AP에 다 통합되기때문에 1칩만으로 3G/LTE 를 지원할 수 .. 2012. 3. 12.
갤럭시 S3 에 들어갈 AP는? 엑시노스 4412 vs 엑시노스 5250 갤럭시 S3 의 스펙, 그 중에서도 AP에 대해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갤럭시 S3 은 삼성이 자사의 기술력을 과시하는 플래그쉽 제품입니다. 따라서 스펙을 생각할 때, 이 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합니다. 일단, 엑시노스 계열이겠지요. 저가형도 아니고 플래그쉽인데, 자사에서 생산하는 AP를 놔두고 타사의 AP를 사용할리가 없지요. 뭐 이건 당연한 얘기였고... 갤럭시 S2 에 들어간 엑시노스 4210 이후의 제품으로 알려진게 4가지 정도입니다. Exynos 4212, 4412, 5250, 5450 (구체적인 스펙은 다음 포스트 참고 : 삼성, 32nm 엑시노스 프로세서 공개. (Exynos 4212, 4412, 5250, 5450)) 이 중에서 4412 와 5450 은 삼성에서 언론에 발표한 적도 없고, .. 2012. 3. 10.
테그라3 GPU 클럭 추정 엔비디아의 AP, 테그라의 GPU는 ULP Geforce 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테그라2 는 GPU 의 클럭이 구체적으로 밝혀진데 반해, 테그라3 의 GPU 클럭은 구체적인 값이 알려져있지 않습니다. 그 클럭을 계산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스펙을 확인해야겠지요. 테그라2는 버텍스 파이프라인 4개 + 픽셀 파이프라인 4개 의 구성이고, 테그라3는 버텍스 파이프라인 4개 + 픽셀 파이프라인 8개 의 구성입니다. GPU의 3D 출력과정을 보면, 결국 최종적으로 성능을 결정하는건 픽셀 파이프라인의 성능입니다. CPU나 버텍스 파이프라인에서 성능 병목이 생기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말이지요. 테그라3로 넘어오면서 버텍스 파이프라인이 강화되지 않고, 그대로 온 것을 보면 버텍스 파이프라인의 성능은 충분한 것으로 .. 2012.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