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폰498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정보 정리. (2025.05.20.) - 퍼갈 때 2차출처 표시바람. - 스냅드래곤7 gen4 공식발표(https://www.qualcomm.com/products/mobile/snapdragon/smartphones/snapdragon-7-series-mobile-platforms/snapdragon-7-gen-4-mobile-platform)SM7750, 코드네임 Eliza, 패키지 PSP1400, TSMC 4nm 공정.(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정보 정리. (2025.01.20.)) (https://browser.geekbench.com/v6/cpu/11980733)긱벤치를 통해 세부 스펙 확인.CPU : Cortex-A720 x1 2.8GHz + Cortex-A720 x4 2.4GHz + Cortex-A520? x3 1.84GHzGPU.. 2025. 5. 20.
텐서-엑시노스 CPU 블록 이미지 비교. (Tensor-Exynos CPU Block) 다이 이미지 소스(https://x.com/Kurnalsalts, 텔레그램 등) - 엑시노스2100 - 텐서G1 - 텐서G2텐서G2 CPU가 텐서G1에서 미들코어만 바뀌고 나머지를 그대로 쓴건 이미 알려진 사실.CPU, GPU 모두 다이 이미지상 엑시노스2100과 유사한 부분이 없음.설계 프론트엔드는 몰라도 백엔드는 구글에서 진행한게 맞는듯. - 엑시노스2300 - 텐서G3CPU 다이 이미지에 차이가 있음.이 역시 최소한 CPU 백엔드는 구글에서 진행한게 맞는듯.엑시노스2300의 CPU 코어 이미지는 퀄컴, 미디어텍을 포함한 AP 제조사 중에서 ARM 레퍼런스와 가장 유사함. - 엑시노스2400 - 텐서G4여기서는 CPU 다이 이미지가 완전히 일치함.(Cortex-A720/A520 L2 캐시 용량.. 2025. 4. 28.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정보 정리. (2025.04.19.) - 퍼갈 때 2차출처 표시바람. - 정리 1. 스냅드래곤 8s gen4 (SM8735) 공식발표.(https://www.qualcomm.com/products/mobile/snapdragon/smartphones/snapdragon-8-series-mobile-platforms/snapdragon-8s-gen-4-mobile-platform)GPU는 Adreno825고 긱벤치 시스템 정보에서 8개 유닛(1024SP)이 확인됨.(https://browser.geekbench.com/v6/compute/4022348)발표 슬라이드에서도 A830이 3슬라이스, A825가 2슬라이스로 나와서 일치함. 2. 스냅드래곤 X2X2000077, 패키지 FCBGA2636, 스냅드래곤X2 Premium, 8CHXG1.. 2025. 4. 19.
Cortex-X925/A725 긱벤치5/6 점수 비교. - 예전에 긱벤치 초기 결과 분석한적 있었는데 이제 결과가 많이 쌓여서 결론을 낼 수 있을듯해서 해봄.  - Cortex-X925동클럭 점수를 비교. 1. 긱벤치5X4끼리 비교해보면 업체 간 차이는 없음.총점에서 X925는 X4 대비 +14% 2. 긱벤치6X4끼리 비교하면 디멘시티보다 스냅드래곤, 엑시노스가 3% 정도 높음. 디멘시티 간 비교해보면 X925는 X4 대비 +20%Specint 테스트 결과를 보면 동클럭 성능에서 디멘시티가 스냅, 엑시보다 낮은 경향이 있는데 긱벤치6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임.(미디어텍에서 전성비와 IPC를 트레이드 오프 한 것으로 추측.) 과거 ARM 발표 자료에서 X925의 긱벤치6 클럭당점수가 X4 대비 최대 20% 상승으로 나왔는데 사실로 확인됨.(Cortex-X925.. 2025. 4. 11.
커널발 엑시노스1580, 엑시노스2500 정보 (갤럭시A56 커널) - 갤럭시 A56 커널에서 나온 엑시노스 정보  - 엑시노스1580 (Exynos1580, S5E8855)CPU 1+3+4코어heyes : Cortex-A520 코드네임은 hayes인데 이걸로 보임. heyes가 단순 오타일수도 있고 hayes를 heyes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그걸 수도 있고...hunter : Cortex-A720 코드네임 빅코어, 미들코어 : Cortex-A720, DMIPs/MHz 912, Dynamic power 상수 394리틀코어 : Cortex-A520, DMIPs/MHz 476, Dynamic power 상수 146 엑시노스2400이CA720, DMIPs/MHz 1378, Dynamic power 상수 고클럭 499/저클럭 444CA520, DMIPs/MHz 781.. 2025. 4. 9.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정보 정리. (2025.03.08.)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정리  - 스냅드래곤6 gen4 공식 발표 (SM6650)(https://www.qualcomm.com/products/mobile/snapdragon/smartphones/snapdragon-6-series-mobile-platforms/snapdragon-6-gen-4-mobile-platform)스냅7s gen3(SM7635)과 같은 다이였는데 발표가 안 돼서 스냅6 라인은 취소됐다고 예상했는데 성급한 결론이었음.(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정보 정리. (2025.01.20.))기본 사양은 7s gen3과 같고 클럭만 약간 낮음.  - X85 모뎀 발표(https://www.qualcomm.com/news/releases/2025/03/introducing-qual.. 2025. 3. 8.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정보 정리. (2025.01.20.)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스냅드래곤 8시리즈 SM8850 / 패키지 MPSP1612 / 코드네임 Kaanapali 전에 KaanapaliS가 확인되어서 삼성 생산 SM8850이 아닌가 추측했는데(팹리스, 파운드리 단신. (2024.09.26. 삼성, 퀄컴, 구글, AMD))이번에 KaanapaliT가 확인되었음.이건 TSMC 생산을 표기한 것으로 추측됨.물류 정보에서 KaanapaliS는 보이지 않아서 루머대로 삼성 생산 SM8850은 없는듯. SM8735 / 패키지 MPSP1446 / 코드네임 Bonito / TSMC 생산.루머에서 스냅8s elite로 알려진 제품.Bonito가 기존 코드네임 패턴과 잘 안 맞는데 같은 양식으로 코드네임을 표기한 경우가 있어서 일단 믿어야할듯. SM873.. 2025. 1. 20.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정보. (2024.11.26.)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스냅드래곤8/7 시리즈SM8735 = SM7775 확인. SM8735는 샤오미 소프트웨어에서 흔적이 발견됐는데 물류이력에서 확인됨.SM7775도 같이 표기되어있는데 SM8635 = SM7675 경우처럼 하나의 칩으로 두 개 라인 제품을 내려는듯.(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모델명 정리. (2024.03.14.)) 구체적인 정보는 없는데 이전 정보에서 이 제품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걸 찾아보면코드네임이 Hawi 혹은 Laguna일 가능성이 있고(팹리스, 파운드리 단신. (2024.09.26. 삼성, 퀄컴, 구글, AMD))  패키지가 MPSP1446 일 가능성이 있음. SM8635가 MPSP1460인데 이걸 스냅8s 라인 칩사이즈에 따른 패키지 사이즈로 본다면 SM873.. 2024. 11. 26.
스냅드래곤8 Elite(SM8750) 전력 예측 검증. - 이전에 스냅드래곤X 엘리트(Snapdragon X Elite) 발표 자료와 알려진 정보를 근거로 스냅드래곤8 Elite(당시 SD8 Gen4, SM8750) 전력을 추정했었음. (스냅드래곤8 Gen4 추정 긱벤치6 결과 분석. (Snapdragon8 Gen4, SM8750)) 스냅드래곤8 Elite가 공식 발표되었고 성능-전력 그래프도 나와서 이전 예측과 얼마나 다른지 확인해봄.  - 발표 슬라이드성능-전력 그래프를 공개하기는 했는데... 스냅X 엘리트 발표시 그래프와 비교하면 차이가 있음.스냅X 엘리트 피크 전력을 보면 스냅X 발표시 14W 정도인데 이번 발표에서 비교군으로 나온 스냅X(1st gen Oryon)은 16W 이상으로 되어있음.스냅X 발표 때 줄였거나 스냅8 엘리트 발표 때 2세대 오.. 2024. 10. 25.
애플 A18/A18 Pro 긱벤치 결과 분석. (iOS 버전 간 차이.) - A18/A18 Pro 긱벤치 결과 분석두 칩 사이에 L2/L3 캐시 차이가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긱벤치에서 유의미한 결과 차이를 보이지는 않음.자세히 말하면 점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오차범위이고 테스트 숫자 차이도 커서 유의미한 차이로 보기 어려움.앞으로 테스트 결과가 많이 누적되면 차이가 명확히 보일 수도 있겠으나 현재까지는 아님.  - 싱글코어, 클럭당점수긱벤치5 A17 대비 싱글코어 점수 +12% / 클럭당점수 +4.5%클럭당점수에서 A16 → A17의 향상치보다는 크지만 인상적인 향상이라고 보기는 어려움. 긱벤치6 A17 대비 싱글코어 점수 +14% / 클럭당점수 +6.7%클럭당점수 향상이 꽤 큰데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특정 테스트(Object Detection) 향상치가 커서전반적인 .. 2024.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