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4

갤럭시S3 일본판 메모리 2GB 탑재는 LTE모델 차별화? 일본의 NTTdocomo 버전 갤럭시S3 스펙이 발표되었습니다. (그냥 편하게 일본판이라고 봐도 무방할듯 합니다.) http://www.nttdocomo.co.jp/binary/pdf/info/news_release/2012/05/16_00_3-4.pdf http://www.samsung.com/jp/galaxys3/index.html?pid=jp_home_thelatest_main_galaxys3_20120515 (아마 잘 안 보일듯. 그냥 링크로 보는게 편할지도.) 기존에 발표된 것과 가장 큰 차이는 세 가지. - 스냅드래곤S4 MSM8960 탑재. - 램 2GB 탑재. - 두께 0.4mm 증가. 시연 제품을 놓고, 1GB 인 것 같다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상황을 종합해보면 일단 시연용 제품으로 기존.. 2012. 5. 17.
스냅드래곤S4 쿼드코어가 나오긴 나오나봅니다. (LG LS970) http://briefmobile.com/exclusive-lg-ls970-with-quad-core-4-7-inch-screen-coming-to-sprint-in-4q http://briefmobile.com/lg-ls970-eclipse-coming-with-1-5-ghz-quad-core-krait-cpu LG-LS970 이라고 합니다. (처음엔 클럭보고 '테그라3네 ㅋㅋㅋ' 이랬습니다.) 오호... APQ8064, MDM9615 탑재군요. (9616은 오타인듯.) APQ 계열은 AP에 모뎀 내장 안 된겁니다. Krait 기반 1.5~1.7GHz 쿼드코어. Adreno320 스펙이라고 올라온 것. APQ8064/MDM9615 램 2GB 내장 메모리 16GB eMMC 배터리 2100mAh 후면 카메.. 2012. 5. 12.
갤럭시 노트 10.1 은 엑시노스 4412 탑재.(인듯?) 저번 포스트에서 갤럭시 노트로 추정되는 모델명이 두개 나왔었지요. (갤럭시 노트 10.1 벤치마크 유출. (유출?공개?)) GT-N8000, N8013 둘이 시스템 정보가 달라서 각기 다른 제품인가 싶었는데, 같은 제품인가 봅니다. GT-N8000 의 새로운 스펙 정보가 올라왔습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1&D=Samsung+GT-N8000&testgroup=overall 이전 포스트에서 GT-N8000, N8013 이 둘이 시스템 정보가 달라서 각기 다른 제품인가 싶었는데, 같은 제품인가 봅니다. (갤럭시 노트 10.1 = GT-N8000 ??) 둘 다 엑시노스 4412 해상도는 1280 x800 갤럭시 노트 10... 2012. 5. 10.
모바일 AP 둘러보기. (5) ARM11 Cortex-A5 기반인줄 알았던 AP가 ARM11 기반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추가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제가 잘 모르기때문에 아는 범위에서 작성했습니다. (1) 기起 : ARM11 ARM11 은 ARMv6 명령어 기반의 아키택처로 ARM9 의 뒤를 잇고, Cortex-A5 로 이어집니다. ARM11 코어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ARM1136, 1156, 1176, 11MP 이 중 가장 많이 나온 것이 ARM1176JZ(F)-S (= ARM1136EJ(F)-S) 입니다. 명령어 처리능력은 1.25 DMIPS/MHz 입니다. (정수연산) 부동소수점 연산성능은 동클럭의 Cortex-A8 대비 85% 정도 입니다. Cortex-A8 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게 의문입니다만, 부동소수점 연산의 비중.. 2012. 5. 9.
LG 옵티머스 LTE2 메모리 구성 가능성. 옵티머스 LTE2 가 2GB 메모리 탑재로 발표되면서, 주목받고 있네요. 갤럭시S3 와 비교되기때문이기도 하겠고요. 다른 제조사들이 1GB를 고수하는 상황에서 2GB로 차별화했는데, 어떻게 2GB를 구성했는지가 관심거리. 일단 스펙보지요. 여담입니다만, 저 디스플레이, AH-IPS 패널은 LG에서 생산하는 최고급 패널입니다. 2GB LPDDR2 플래시 메모리는 16GB eMMC MSM8960 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듀얼채널 지원입니다. 현재 양산 중인 LPDDR2 최고용량은 4Gb(=512MB) 가능성. 1. 4단 적층해서 PoP (Package on Package) (스냅드래곤S4 MSM8260A) 위 이미지를 보면 스냅드래곤S4 는 메모리를 패키징하는데 PoP 방식을 쓴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2. 5. 7.
삼성 갤럭시S3 공식 발표. 스펙 추정과 비교. 국내시간으로 5월 4일, 갤럭시S3 가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2월초부터 설레발치면서 지겹게 올려대던 갤럭시S3 스펙 추정도 오늘로 끝입니다. (물론 LTE 모델 얘기는 제외.ㅋ 나올 때까지 계속됩니다.) 국내, 해외의 각종 매체들이 무차별적으로 루머를 퍼다나르고 올리는걸 비판적으로 봤던 입장인만큼 그동안 썼던 추정이 실제와 얼마나 맞고 얼마나 다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반성의 시간. ㅜㅜ) (출처 : Anandtech) (디자인은 이 정도면 괜찮은 것 같은데... 약간 모토글램스러워서 그렇지...) - CPU 엑시노스 4412 Cortex-A9 기반 1.4GHz 쿼드코어. 삼성 32nm HKMG LP 공정. 아이패드2 의 경우를 보면 AP 공정이 45nm 에서 32nm 로 바뀌었다고, 사용시간이 막 늘어.. 2012. 5. 5.
모바일 GPU 성능 비교 v12.5 - 참고사항1. GLBenchmark 2.1 offscreen 720p 프레임값 기준. 실제 게임성능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2. Egypt 는 OpenGL ES 2.0 기반 테스트, Pro 는 OpenGL ES 1.x 기반 테스트.v12.11. SGX531 추가. 2. OMAP4460 클럭 수정. (384MHz -> 307MHz)(https://github.com/supercurio/android-omap-tuna/blob/android-omap-tuna-3.0-mr0/drivers/gpu/pvr/omap4/sysconfig.h)3. v12.1 은 12년 1월 기준이란 뜻. 큰 변화가 있을 경우 한달 단위로 갱신.v12.21. 제품 스펙 표시 오류가 밝혀져, Tegra2 (400MHz, T25) 삭제... 2012. 5. 5.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5 - v12.1 변경점1. 80여개이던 자료수가 200여개로 늘었습니다. 추가적인 리뷰로 인해 한자리 수의 증가는 있겠지만, 새로운 스마트폰 리뷰 사이트가 발견되지 않는한 이번처럼 급증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2. 버전표시.12.1 은 12년 1월 기준이라는 얘기입니다.카탈리스트 방식을 따왔습니다.특별한 추가 자료가 없는한 갱신은 없습니다.3. ARM11, Cortex-A5 추가.Cortex-A5 는 저가형 스냅드래곤(싱글코어)에 제법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4. 1GHz 기준 멀티스레드 성능 차트 추가.5. 싱글, 멀티스레드 간의 비율을 활용하여 멀티코어 성능 향상 비율 차트 작성.6. 테그라3 성능 수정. 테그라3 탑재 제품 중 아수스의 트랜스포머 프라임은 성능모드별로 클럭이 다른데, 이것을 반.. 2012. 5. 4.
삼성 SHV-E200S, SHV-E210L, SHW-M440S (갤럭시S3로 추정) SHV-E 계열은 삼성의 LTE 지원 스마트폰 모델명. SHW-M 계열은 삼성의 3G 지원 스마트폰 모델명. 현재 구제적인 정보가 잡힌건 4가지. - SHV-E170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D=Samsung+SHV-E170&benchmark=glpro21 이건 이전에도 다뤘습니다. (갤럭시S3 LTE(가칭)에는 스냅드래곤S4가 탑재될듯 합니다.) 스냅드래곤S4 (MSM8960) 이지만, 960x540 이란 해상도로 봐서는 갤럭시S3 가능성은 없어보입니다. 이전과 바뀐건, SKT, KT 용 두가지라는 것. - SHV-E200S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1&D=Samsun.. 2012. 5. 3.
갤럭시S3 플랫폼 추정. (ver. 2012.05.01) (iSheep...) (이상 갤럭시S3 티저 영상.) 정식 발표 전에 한번 질러줘야겠지요. 1. 삼성은 스냅드래곤S4 초기 물량을 쓸어담고 있습니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 갤럭시S3 의 국내 3G 버전은 엑시노스 4412 + 인피니언 모뎀칩. 이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얘기는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갤럭시 S3 플랫폼과 스펙 추정.) 3. 유럽판은 기본적으로 3G 이고, 국내 3G 버전과 같음. 유럽에서의 LTE 보급률을 생각하면 3G가 기본이 될수밖에 없음. 4. 미국판은 스냅드래곤S4 (MSM8960) (갤럭시S3 LTE(가칭)에는 스냅드래곤S4가 탑재될듯 합니다.) 3G도 스냅드래곤일 가능성이 높아보임. 5. 국내 LTE 버전은 '아마도' 엑시노스 + 삼성통신칩(3G/LTE) (예전에.. 2012.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