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96

맥북 프로 2016의 폴라리스11은 삼성 생산? (MACBOOK PRO 2016, POLARIS11, RADEON PRO) - AMD 폴라리스11은 14LPP 공정으로 삼성, GF 생산으로 알려져있는데 데스크탑용 그래픽 카드에 들어가는 코어와 맥북 프로 2016에 들어가는 라데온 프로 코어의 코어 마킹에 차이가 있음. -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 (RX460) - 맥북 프로 2016 라데온 프로 (링크 : https://www.ifixit.com/Teardown/MacBook+Pro+15-Inch+Touch+Bar+Teardown/73395) - 정리해보면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 (RX460) : 215-0895088 맥북 프로 2016 라데온 프로 : 216-0896144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 GPU에서 모두 같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생산 주차나 LOT 차이 등을 표기하는 코드는 아닌 것으로 보임. (맨 위의 16으로 시작하는.. 2017. 2. 19.
갤럭시 A5,A7 2017 커널 (엑시노스7880) - 갤럭시A5,A7 2017 커널에서 줏은 내용. 별 대단한건 없어서 캡쳐는 됐고 텍스트로 내용만 쓰겠습니다. - 센서 전면 센서 : S5K3P8SN 후면 센서 : S5K3P8SX - 코드네임 엑시노스7880 코드네임은 'Joon' 이전에 했던 추정대로면 호수 이름. (링크 : Zauba 노출 신규 엑시노스 정보. (엑시노스8895, 엑시노스7570)) Joon이 들어가는 호수는 오스트레일리아 준달럽(Joondalup) 밖에 없어보임. 코드네임 - 제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음. 플래그쉽 - 하이엔드 - 미드레인지 - 로우엔드 Istor (7420) - Insel-D (7580) - Insel-D (7578) - Island (3475) Jungfrau (8890) - Joon (7880) - Joshua.. 2017. 2. 18.
퀄컴 신규 프로세서 긱벤치4 결과. (스냅드래곤835? 660?) - 퀄컴 신제품으로 보이는 긱벤치4 결과입니다.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v4/cpu/1440183) 인터넷 상에는 스냅835 결과로 얘기되고 있습니다. - 시스템 정보 프로세서에 퀄컴이라고 표기되어 있어 퀄컴 제품은 맞는거 같고, 옥타코어 1.9GHz 입니다. 프로세서 ID가 part 2048 r10p1인데 스냅820/821의 kryo 코어가 part 513, 517, 577로 나왔던걸 생각하면 일단 다른 아키텍처로 보입니다. Kryo 기반의 마이너 체인지 아키텍처일 가능성도 있겠고요. 1.9GHz라는 클럭은 리틀코어 클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점수 일단 점수부터 보고 가겠습니다. 싱글/멀티코어 점수 Cryptography 1129 / 5548 정수 1661.. 2016. 12. 31.
미디어텍 Helio X30 긱벤치4 결과. - 미디어텍 Helio X30 결과로 보이는 긱벤치4 결과가 올라왔습니다.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v4/cpu/1366714) - 시스템 정보 MT6799로 나오는데 헬리오 X20 MT6797이었던걸 생각하면 헬리오 X30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데카코어로 표기되어 있고요. 프로세서 ID는 part 3337 입니다. Cortex-A73 사양인 기린960 결과를 통해 확인된 Cortex-A73 ID 입니다. 헬리오 X30의 공식 발표 사양이 A73 + A53 + A35 인 점을 고려하면 이 결과가 헬리오 X30 결과인건 확실해 보입니다. 코어 리비전은 r0p1 클럭은 테스트 결과를 종합해보면 1.586GHz, 1.248GHz 두 가지가 나옵니다. 미들코어, 리틀코.. 2016. 12. 31.
스냅드래곤835 아드레노540 초기벤치 분석. (Snapdragon835, MSM8998, Adreno540) - 스냅드래곤835 Adreno540 초기 벤치 분석입니다. - 시스템 정보 / 테스트 결과 테스트 결과는 사이트에서 내려간 상태고 캡쳐만 남아있습니다. 시스템 정보상 CPU는 옥타코어 2.2GHz로 나옵니다. 스냅드래곤835 CPU 사양이 루머로는 Kryo 쿼드 3.0GHz + Kryo 쿼드 2.4GHz로 알려져 있는데, 시스템 정보에 나온 클럭이 리틀코어라고해도 약간의 클럭 차이가 있습니다. 빅리틀인 점에 착안해서 리틀코어가 Cortex-A53일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도 있겠으나 클럭을 봐서는 아닌듯 합니다. 엑시노스8890 A53 클럭이 1.6GHz인데 공정차이를 반영하면 10LPE 공정에서는 10% 정도 오른 1.8GHz 정도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위의 시스템 정보와 차이가 있지요. 스냅821의 .. 2016. 12. 26.
엑시노스8895 GFX벤치 찌라시 분석. - 찌라시 맨해튼 3.1 : 50.1 fps 맨해튼 : 73.5 fps 602MHz 기준? 카 체이스 : 33.4 fps 맨해튼 3.1 : 54.2 fps 맨해튼 : 77 fps 티렉스 : 167.1 fps Mali-G71MP16? MP20? - 계산 (링크 : ARM Mali-G71 성능 분석. (하이실리콘 기린960)) 1. 맨해튼 3.1 : 50.1 fps / 맨해튼 : 73.5 fps / 602MHz 기준? 602MHz 기준이라니 기린960 결과로 나온 사양당 프레임과 찌라시 프레임으로 MP수를 역산해보면, 맨해튼 3.1 : 50.1 / 0.602 / 4.63 = 18 맨해튼 : 73.5 / 0.602 / 7.63 = 16 맨해튼 기준으로는 찌라시대로 MP16으로 나오긴하고, MP16 기준으로 맨.. 2016. 12. 6.
ARM Mali-G71 성능 분석. (하이실리콘 기린960) - 기린960 GFX벤치 결과를 통한 Mali-G71 성능분석입니다. (링크 : https://gfxbench.com/device.jsp?benchmark=gfx40&os=Android&api=gl&D=Huawei+Mate+9+%28MHA-xxx%29&testgroup=overall) - 테스트 결과 - 분석 : 사양 전작인 기린950 대비 카 체이스 2.51배, 맨해튼3.1 3.1배, 맨해튼 2.97배, 티렉스 2.45배입니다. 화웨이가 발표한 2.5배와 잘 맞아들어갑니다. 사양 얘기를 좀 하면 기린950은 900MHz로 발표됐지만 엑시노스8890과의 성능 차이를 봤을 때 실동작 클럭은 800MHz 정도로 보입니다. 그런데 기린960 클럭은 왜 알려진 900MHz를 그대로 썼냐하면 1도 조건에서 테스트.. 2016. 12. 4.
Cortex-A73 긱벤치4 성능. (화웨이 기린960) (update 2016.12.04.) - 화웨이 메이트9 탑재 기린960의 긱벤치4 결과 분석입니다. (Huawei Mate9, Kirin960)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v4/cpu/1137432) - 시스템 정보 기린960 CPU 사양은 Cortex-A73 x4 2.4GHz + Cortex-A53 x4 1.8GHz 로 알려져 있습니다. 긱벤치4 시스템 정보로는 1.84GHz로 나오는데 이건 리틀코어 클럭이겠지요. GFX벤치 시스템 정보에는 2.3GHz로 나오는데 이건 빅코어 클럭으로 보입니다. 프로세서 ID에 part 3337로 나오는데 이게 Cortex-A73 인듯 합니다. Cortex-A72는 3336 이었습니다. 리비전은 r0p1 (링크 : https://gfxbench.com/device... 2016. 11. 11.
삼성, TSMC 공정 비교. (2016.10.29.) - 공정 비교 자료 업데이트입니다. (2016.10.29.) - DAC2016 삼성 자료 DAC2016 발표로 보이는 삼성 자료가 추가됐습니다. 28FD-SOI가 추가되었으며 20LPE는 보이지 않습니다. 애초에 그렇게 공언했기도 했지만 20nm 공정이 징검다리 취급을 받고 있는게 맞는듯 합니다. - 45/40nm~28nm 성능 게인 포함하는 공정이 많아지면서 차트가 길어져서 중간에 잘랐습니다. GF는 자료는 많으나 시기에 따라 내용이 제각각이라 유의미한 결과로 보기 어려워 뺐습니다. 45LP, 40G는 자료가 적어서 안 맞을 수 있습니다. 45nm 이전 공정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각 공정에 대한 성능을 공개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그런듯 합니다. 28LPH 등 분명 존재하는 공정이나 차트에서 빠진건 자.. 2016. 10. 29.
삼성의 GPU 생산에 대하여. (GP107 외) - GTX1050 Ti, GTX1050이 발표되었고 거기에 들어가는 GP107 생산이 삼성이라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링크 : http://www.pcgameshardware.de/Nvidia-Pascal-Hardware-261713/Specials/Geforce-GTX-1050-Ti-Release-Samsung-1210868/) 엉뚱하게 GTX1050의 출시에 위협을 느낀 AMD가 내놓은 자료로 GP107이 14nm 공정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시기상 14LPP 공정이겠지요. GP107 다이사이즈는 130~135mm2 정도로 알려져있는데 (위에는 132mm2로 나왔네요.) 작다면 작은 제품이지만 AP와 비교하면 큰 편이고 라인업상 미드레인지에 진입했으니 삼성에게는 의미있는 생산일겁니다. 로우엔드 담당의 하.. 2016.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