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tex-A72 성능, 전력 자료입니다.
출처는 화웨이.
기린930 발표하면서 나온 내용입니다.
목적은 A53이 A57보다 전성비가 좋다는 얘기가 하고 싶었던거겠지만, 잘 안 먹힐거 같네요.
- SpecINT 2K 성능
Cortex-A53 : 500 specint/GHz
Cortex-A57 : 780 specint/GHz
Cortex-A72 : 820 specint/GHz
이전 포스팅에서 이 정도로 정리를 했었는데,
A53 : 450 specint/GHz
A57 : 739 specint/GHz
A72 : 828 specint/GHz
(링크 : Cortex-A72 SPECint 2000 성능 추정. (아키텍처별 SPECint 2K 성능 정리))
A72는 맞는 편이고, A57, A53은 다소 낮게 계산됐습니다.
클럭이 1GHz 초반 대라는게 좀 걸립니다.
고클럭으로 가면 저것보다 클럭당성능은 좀 낮아질지도 모르겠습니다.
- AREA (Core / Total cluster)
Cortex-A53 : 1.2mm2 / 8.4mm2
Cortex-A57 : 3.6mm2 / 20.7mm2
Cortex-A72 : 3.3mm2 / 18.7mm2
면적인데 A57 클러스터 면적이 20.7mm2 인걸 봐서는 28nm 공정 기준인듯 합니다.
삼성 20nm에서 14mm2 이니.
(Chipworks 갤럭시S6 분해 분석. (Galaxy S6, Exynos7420) (update 15.04.06))
A72 면적이 A57 대비 8~9% 정도 줄어든걸 보면 최적화 버전이라는 얘기가 틀리지는 않는듯 합니다.
- Dynamic power
Cortex-A53 : 150 mW/GHz
Cortex-A57 : 535 mW/GHz
Cortex-A72 : ~441 mW/GHz
- Static power (CPU/non-CPU)
Cortex-A53 : 46mW / 47mW
Cortex-A57 : 125mW / 86mW
Cortex-A72 : 119mW / 82mW
Dynamic power 18% 감소.
면적 자료가 28nm 기준이면 전력 자료도 28nm 기준이라고 봐야할듯 한데, 실제 저 값으로 A57, A53 소비전력을 계산해보면 20nm 공정과 비슷한 결과가 나옵니다. (엑시노스5433)
어느 쪽인지 확실하지 않아서 절대적인 값으로 믿기는 힘들지만, A57보다 소비전력 감소가 있다는건 알 수 있겠네요.
'스마트폰 > ARM Hold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 Cortex-A73 발표. (코드네임 : 아르테미스, Artemis) (24) | 2016.06.03 |
---|---|
ARM Cortex-A72 세부정보 공개. (Update 2015.05.30) (43) | 2015.05.30 |
Cortex-A72 성능, 전력 자료. (source : 화웨이) (33) | 2015.04.20 |
Cortex-A72 긱벤치 성능 추정. (Geekbench3) (update 2015.04.11) (11) | 2015.04.11 |
ARM Mali-T760/T628 MP별 Performance scaling (12) | 2015.03.29 |
Cortex-A72 SPECint 2000 성능 추정. (아키텍처별 SPECint 2K 성능 정리) (update 17.03.20.) (8) | 2015.03.28 |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성능상승이 없는 것도 아니니까요.
이 정도면 준수한듯.
결국에는 Cortex-A17과 비슷한 라인업이네요.
차이점이 있다면 Cortex-A17은 사용한 회사가 그리 많지 않지만, Cortex-A72는 그래도 Cortex-A57을 쓰지 못했던 애들이 잘 쓸 예정이라는게....ㅋㅋㅋ
답글
나올지 말지는 두고 봐야할듯 합니다.
거의 셈프론 1세대에서 애슬론64 1세대급으로 진화했군요. 포지션은 적절하게 그 반대로 되고요
답글
뭔가 좀 많이 다른거 같네요.ㅎㅎ
제가 원햇던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답글
갠적으로 a53 팬으로써 흡족한 정보네요 감사함당 ㅎㅎ
답글
감사합니다.
a53의 다이사이즈와 전력을 생각한다면 a57 + a 53 hmp 보다 a53 옥타 그 이상으로 배열하는게 전성비나 성능 모두 잡을 수 있는것 아닌가요?
답글
단일코어 성능도 중요합니다
A53 멀티코어로 A57 성능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병렬화가 가능했다면 업체들이 A57같은 코어를 설계하지도 않았겠지요.
이론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현실적으로 A53이 무슨 짓을 해도 A57을 따라잡는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많은 작업들이 싱글스레드 성능을 중요시합니다. 암드가 괜히 스레기인게 아니에요.. 그멀티코어 병렬화로 인한 체감성능은 쿼드이상은 큰 의미가 없는 수준입니다. 그게 그렇게 의미있으몀 a57이나 a15는 필요없고 헥사데시멀 코어 정도로 리틀코어 박으면 장땡이죠..
그래도 A53 2GHz가 저 스펙INT 성능대로라면 A57 1.2GHz 정도이니 실사용에 그럭저럭 쓸만은 할것 같네요.. 제가 A53만 들어간 기기를 써보니 쓰로틀링 자체가 거의 없더라고요. 뭐 2GHz로 올리면 전압 등의 문제로 인해 쓰로틀링을 걸어야 할지 모르겠지만은.. 아무튼 쓰로틀링이 거의 없다고 가정한다면 중가형 준플래그십용으로는 나름 머리를 잘썼다 싶습니다.
A53으로 HMP하는건 스냅이 이미 했으니까요.
까놓고 말해서 현 세대 AP 중 쓸만하지 않은 제품 없습니다.
다 지원사양 안에서는 충분하지요.
사람들은 하이엔드도 실성능은 고만고만하다는 (말같지도 않은) 의미로 스펙의 상향평준화를 얘기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이제 뭘 사도 기본은 해준다는 의미에서 상향평준화 시대라고 봅니다.
근데 A53 빅리틀 HMP가 의미가 있나요? A53 클럭 높이는건 환영인데, HMP는 굳이 아키텍쳐가 같은걸 리틀 따로 빅 따로 동작하도록 해야 하나 그 생각이 들어서... 같은 A53이면 그냥 빅코어 클럭 낮추면 리틀코어하고 똑같은 효율을 낼 거 같은데요. 그나마 화웨이는 A53e라고 e를 뒤에 붙인거 보면 클럭을 높이려고 A53 아키텍쳐에 약간의 수정을 (파이프라인 단계나 뭐..) 가한것 같은 느낌이긴 한데 (물론 아닐수도 있음 순전히 제 추측), 스냅615의 HMP는 그것도 아니고 마케팅 요소로밖에 안보여서요. 아니면 클러스터로 묶어서 동기화하는게 크레이트 400 시리즈처럼 비동기로 동작시키는거보다 용이해서 그런걸까요?
성능적으로는 A53 옥타 SMP보다 안 좋습니다.
전력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기는 합니다만 A53 정도되면 차이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
A72가 A57의 최적화 버젼이라면 최적화된 삼성 커스텀 A57도 저정도 전성비는 나오겠죠?
답글
그랬으면 벤치마크상 엑시노스7420과 A72의 클럭당성능에 차이가 없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삼성 A57이 A72급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갤놋5에 탑재될 cpu가 7420이 아니라는 가정하에 제발 a72면 좋을텐데요... 14nm lpp공정에 a72 2.5ghz 4기가 lpddr4 mail880 or 860정도(a8x보다 약간높은성능) 이정도면 거의 완전체급이지요...
답글
찌라시 상황봐서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자료를 토대로 계산하면 a57 1.8GHz 싱글코어가 963mW인가요? 이전 자료들에 비해 터무니 없이 낮은 것 같은데요;
답글
1ghz 기준이니까 그렇지요.. 클럭이 올라가면서 전압도 올라가서 전력소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 5433은 1.8ghz 1.9ghz 간 클럭차이는 5%정도지만 전력소모차이는 15%정도나요..
저클럭에서 시뮬레이션 결과(SSG)라서 그런듯 합니다.
당연히 실제 제품은 훨씬 고클럭이니 실제 나오는 전력은 저것보다 높습니다.
전압 문제도 있고, 온도에 따른 누설전류 문제도 따져야하고요.
전력관련된 수치는 절대값보다는 아키텍처 간 상대적인 차이만 보면 될듯 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GCC에서 지원하는 프로세서에 엑시노스 M1 (몽구스)도 포함되어 있나 보네요.
견조하게 가시화되고 있군요.
답글
A57이라고 표기한 코드도 있는데 몽구스라고 볼 수 밖에 없는 상황.
m1의 파이프라인 스케쥴러를 일단 A-57과 똑같이 해달라는 요청인 것 같네요.
나중에 최적화 패치를 다시 하겠죠.
답글
소소한 태클 : 면적 문단에서, 18.7mm²인 건 A57이 아니라 A72네요.
답글
그렇네요.;;
수정했습니다.
추정에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표에 나온 쿼드코어 면적으로 미뤄보건데
a57, a72둘다 L2는 2MB인 것 같습니다, 리틀인 a53은 좀 커진 1MB
삼성 엑시노스 5410의 a15가 18~19mm2 정도로 a72와 비슷한데 이 녀석도 2MB였죠
a7리틀코어는 0.5MB 였지만, 신공정과 메모리기술의 이점을 살려
엑시5430 이후로는 리틀코어는 1MB, 빅코어는 4MB로 각 2배씩 확장해서 7420까지 쭉 이어왔고
엑시에 탑재된 a57과 화웨이가 말한 a57의 IPC가 다르다면 여기서도 영향이 있을거 같습니다.
답글
삼성에서 2MB, 512KB라고 합니다.
http://gamma0burst.tistory.com/821
제가 본 곳에 전부다 조금씩 달라서 이상했는데 5433 다이사진을 보니
확실히 이해되네요. 애넌드텍 자료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http://www.anandtech.com/show/8718/the-samsung-galaxy-note-4-exynos-review
문단 중간을보니 애넌드텍도 스스로 오류였다고 인정했군요.
그럼 2MB, 256KB가 맞겠군요. 죄송합니다, 역시 별 도움은 못된거 같네요
캐시용량, IPC 등으로 면적을 추측하려면 명확한 관계가 필요할듯 합니다.
공정에 따른 캐시 면적 차이.
IPC 상승에 영향을 준 부분이 무엇이며 면적이 얼마나 증가하는 방향인가.
하는 식으로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