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냅드래곤S4 쿼드코어 싱글스레드 결과 추가.
대체 뭔 짓을 해놨길레, 같은 기반인데 싱글스레드가 두 배씩 나오는건지.
2코어가 싱글처럼 동작하는가 싶기도 한데, 멀티스레드 결과보면 또 그건 아닌거 같고...
멀티스레드 결과가 400~600 사이의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니, 테스트 결과가 누적되면 어떻게든 결론이 나겠지요.
2. 싱글스레드 그래프 분할.
스냅드래곤S4 쿼드가 200 가까이 찍어주니 결과낮은 애들은 잘 표시도 안 됩니다.
3. 데이터가 많아지니까 T30, T30L 은 어느 정도 비슷하게 맞아가는데, 데이터가 부족한 T33 은 아직도 멀었나봅니다.
4. 스냅드래곤S4 쿼드코어 효율이 2.72
결과끼리 조합해서 최대한 좋게 계산해도 3.2 정도입니다.
엑시노스4 쿼드 결과를 봐도 그렇고, 현 상태에서 쿼드코어 효율은 그 정도인가 봅니다.
아니면 린팩의 한계일수도 있고...
- v12.8
1. 수정, 추가, 삭제 항목.
- Qualcomm Snapdragon S4 (Krait, 1.2GHz, 2cores) 추가.
2. 전 버전 수정사항은 이전 포스트 참고.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7)
- v12.9
1. 수정, 추가, 삭제 항목.
- Qualcomm Snapdragon S4 Quad (krait, 1.5Hz, 4ores) 추가.
- Samsung Exynos4 Quad (Cortex-A9, 1.6GHz, 4cores) 추가.
- MediaTek M6577 (Cortex-A9, 1GHz, 2cores) 추가.
- Allwinner A10 싱글 스레드 결과 추가.
- v12.10
1. 수정, 추가, 삭제 항목.
- Qualcomm Snapdragon S4 Quad (krait, 1.5Hz, 4ores) 싱글스레드 추가.
- Allwinner A10 (Cortex-A8, 1.2GHz) 추가.
2. 싱글스레드 그래프 분할.
'성능비교 그래프 > 부동소수점 연산 (VF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12 (8) | 2012.12.02 |
---|---|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11 (4) | 2012.11.03 |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10 (10) | 2012.09.29 |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9 (2) | 2012.09.01 |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8 (7) | 2012.08.01 |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7 (6) | 2012.07.0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스냅쿼드 괴물이네요ㄷㄷ; 근데멀티코어효율은 좀딸리네요?
그러니까요.
듀얼코어가 효율을 너무 잘 뽑아서 안 되도 3.5쯤은 될줄 알았는데 말이지요.
아직 데이터가 많은게 아니라 좀 더 지켜보긴해야할듯.
스냅쿼드 엑시4412의 두배가넘어가네요
실사도저렇게 나올까요?
실사에서 중요한건 정수 연산이라서 저렇게까지 차이가 나지는 않을겁니다.
차이라고해도 30% 정도?될듯.
궁금한 게, 부동소수점 성능은 주로 어디에 쓰이길래 실성능에 효과가 없는 건가요?
제일 만만한게 게임.
그 외에도 일반적인 앱에서 낮은 비중으로 쓰입니다.
요즘 추세가 부동소수점 연산 비중이 높은건 다 GPU 활용으로 넘기는지라, CPU 체감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많이 부족합니다.
음... 그렇다면 cpu를 그래픽 연산에 활용할 수도 있겠네요. 그런데 스마트폰으로 그런 게임은 안나오겠죠?
애초에 게임에서 3D 출력 과정에 CPU가 완전 배제된건 아닙니다만, 그런걸 말씀하신건 아닐테고요.ㅎ
말씀하신 부분같은건 이론적으로는 못 할것도 없는데, 대단히 비효율적입니다.
애초에 CPU로 처리할 때, 투입되는 자원대비 결과가(효율이) 너무 안 좋아서, 그런 연산에 특화된 GPU를 만들어서 쓰는거니까요.
Ti가 모바일시장에서 철수한다던데 사실인가요? 오맵4470을 끝으로 안드로이드에서 sgx은 멸종인 건지...
기사대로면 최악으로 잡아도 OMAP5 까지 내놓고 철수라더군요.
SGX는 쓰는데가 많으니 Ti가 안 쓴다고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