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84

ARM vs X86 (Ubuntu) 성능 비교. v13.3 http://openbenchmarking.org/result/1212043-RA-COMPILERT89 http://www.phoronix.com/scan.php?page=news_item&px=MTI0NzA http://openbenchmarking.org/result/1212087-RA-TEGRACORT38 http://www.phoronix.com/scan.php?page=article&item=linaro_1212_linux&num=1 http://www.phoronix.com/scan.php?page=article&item=ubuntu_1304jan_atom&num=1 http://openbenchmarking.org/result/1302235-FO-EXYNOS5DU96 http://openbe.. 2013. 3. 2.
모바일 GPU 성능 비교 v13.3 1. 스냅드래곤 600 결과 추가. 삼성의 테스트기 결과를 보면 스냅드래곤 600의 Adreno320은 500Mz로 추정되는데 실제 타사의 출시 제품들은 기존 스냅드래곤S4 프로의 Adreno320 과 같은 성능을 보입니다. 아직까지 최대 성능(클럭)으로 나오는건 힘든건지... (삼성 SHV-E300S 그래픽 성능. (스냅드래곤 600 추정)) 2. LG Google TV의 결과가 올라왔는데, LG의 AP를 탑재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LG+Google+TV&testgroup=system) Cortex-A9 1.0GHz, Mali-400MP4 사양의 LG L9 가 아닐까 추측. (LG H13.. 2013. 3. 2.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3.3 - 전체 결과 1. 스냅드래곤 600 추가했습니다. 기존의 스냅드래곤S4 쿼드보다 크게 향상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런지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 - 클럭당성능 비교 2. 스냅드래곤 600 의 Krait 300은 기존 Krait 대비 클럭당성능이 15% 정도 상승했고, 부동소수점 연산, 자바스크립트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위의 클럭당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보면 그 말이 맞는 것 같지요. (408.5/362.8 = 1.125, 12.5% 향상.) 그런데 저건 스로틀링 가능성이 있는 다수 결과의 평균이기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이고, 최대값을 비교해보면 동급입니다. NEON의 성능은 모르겠지만, 린팩에서의 VFP 성능은 기존 스냅드래곤S4 프로와 스냅드래곤 600 이 같습니다. - 멀티코어 효율 3. 스.. 2013. 3. 1.
엑시노스5 옥타 (5410) GPU 추정. 갤럭시S4 발표까지 보름정도 남았는데 슬슬 뭐라도 예상을 해봐야할 것 같아서 써봅니다. ISSCC 2013 에서 발표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시노스5 옥타의 GPU를 추정해보겠습니다. (ISSCC 2013 삼성 세션 정보 (엑시노스5 옥타)) 추정은 공개된 다이 사진에서 시작합니다. 사진을 보면 하단을 제외한 삼면은 다이의 경계로 보입니다. 왼쪽과 상단 왼쪽에 메모리 인터페이스 버스가 보이니 왼쪽과 상단은 경계가 확실하고 오른쪽로 끝부분 형태로 봐서 경계입니다. 전체 다이 사진을 가로로 자른 것 중 윗부분이라는 얘기입니다. 다이의 한변의 길이를 알 수 있다는거지요. 1st 쿼드코어가 19mm2 이고 2nd 쿼드코어가 3.8mm2 라는 내용을 토대로 계산해보면 가로길이가 11.7mm 내외입니다. 역대 엑시노스.. 2013. 2. 28.
엔비디아 테그라4, 테그라4i 정보.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event/20130225_589168.html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ubiq/20130219_588384.html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kaigai/20130225_589158.html http://www.anandtech.com/show/6787/nvidia-tegra-4-architecture-deep-dive-plus-tegra-4i-phoenix-hands-on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kaigai/20130228_589799.html MWC(Mobile World Co.. 2013. 2. 25.
엑시노스5 옥타, 5250 소비전력 추정 및 비교. 지난 포스팅에서 엑시노스5 옥타의 소비전력을 예상해봤습니다. (ISSCC 2013 삼성 세션 정보 (엑시노스5 옥타)) Cortex-A15 1.8GHz 쿼드코어 4.5W Cortex-A7 1.2GHz 쿼드코어 0.56W 이 수치가 다른 AP들과 비교해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AP에서 순수하게 CPU 소비전력만 측정한 (거의) 유일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겠습니다. (http://www.anandtech.com/show/6536/arm-vs-x86-the-real-showdown) 아난드텍의 테스트는 GPU와 전체 플랫폼 전력도 다루고있지만 여기서는 아키텍처에 따른 소비전력을 비교하는게 목적이기때문에 CPU의 소비전력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는 5가지입니다. SunSpider, Kraken.. 2013. 2. 23.
ARM big.LITTLE Processing의 목적과 유용성에 대하여. 지난 번에 빅리틀에 대해 한 번 다뤘습니다. (ARM big.LITTLE Processing (빅리틀)) 하지만 최근 커뮤니티에서의 반응을 보면 빅리틀의 유용성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아무래도 지난 포스팅이 빅리틀의 동작 방식에 촛점이 맞췄고, 왜 빅리틀이라는 기술이 나왔으며 왜 빅리틀이 유용한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기때문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마치 내 글이 대단한 영향력이라도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보일까봐 좀 그렇지만...) 엑시노스5 옥타의 소비전력에 대한 논란도 그런 측면에서 비롯된 것이겠지요. 그래서 이번에는 빅리틀의 목적과 유용성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 글은 2012년 7월 16~19일 간 그리스에서 열린 12회 SAMOS 에서 The h.. 2013. 2. 23.
ISSCC 2013 삼성 세션 정보 (엑시노스5 옥타) http://techon.nikkeibp.co.jp/article/EVENT/20130220/266913/?ST=p_bizboard http://www.anandtech.com/show/6768/samsung-details-exynos-5-octa-architecture-power-at-isscc-13 아직 pcwatch에서 정보가 올라오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확보된걸 올리겠습니다. 앞으로 추가 정보가 올라오면 갱신될겁니다. - ISSCC 2013에서 삼성이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엑시노스 관련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28nm High-K Metal gate heterogeneous Quad-core CPUs for high performance and energy-efficient mobile .. 2013. 2. 21.
삼성 SHV-E300S 그래픽 성능. (스냅드래곤 600 추정)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Samsung+SHV-E300S&testgroup=overall 삼성 SHV-E300S 의 GLBenchmark 테스트 결과입니다. SHV-E300S 는 SKT용 제품의 모델명이고, 갤럭시S3가 E210 이었기때문에 갤럭시S4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이 진짜 갤럭시S4 인지 여부는 마지막에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퀄컴 AP가 들어갑니다. GPU는 Adreno320 MSM8960 이라고 나와있지만 의미는 없습니다. APQ8064 들어간 제품도 시스템 정보에는 MSM8960 으로 나옵니다. 스냅드래곤S4 이상 제품은 대부분 저렇게 표기된다고봐도 무방할정도. 어쨌든 퀄컴 AP가 들어간건 확실하.. 2013. 2. 13.
테이크 LTE (KM-E100) 젤리빈 간단 사용기. 젤리빈 업데이트 이후 사용기입니다. 젤리빈 이스터에그. 쓰다보면 젤리빈 아이콘?이 구석구석 보입니다. - 언루팅하고 펌업했어야되는데 깜빡하고 그냥 했습니다. 되네요? 루팅은 풀렸고요. - 젤리빈되고나서 기존 루팅툴 안 먹히네요. 원클릭 v3 던가. v4 는 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안 해봐서 모르겠습니다. 루팅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요. - 큰 변화는 없는데, 반응이 약간 느려졌습니다. 예전보다 터치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듯. 화면 전환도 전보다 약간 느린데 아마도 설정을 그렇게 해놓아서 그런거겠지요. 안 해봐서 모르겠지만 공장초기화하면 괜찮아질지도 모르겠네요. - 애니팡, 드래곤 플라이트 등 일부 게임이 실행이 안 되는데 제거 후에서 재설치하면 잘 됩니다. 문제라면 이전에 없던 게임렉이 발생한다는거. 진짜 .. 2013.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