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PU92

AMD Llano 신규 정보.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kaigai/20101104_404182.html AMD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10월19일에 개최한 기술 컨퍼런스 AMD Technology Forum and Exhibit (AMD TFE)에서 Llano를 공개했습니다. 시연도 있었는데 사실상 구체적인 정보는 거의 없다시피해서;; 하여튼 새롭게 알려진 내용이 제법 있어서 기존에 알려져있던 정보들이 업데이트가 필요해졌습니다. 공개된 Llano의 웨이퍼. 원래는 웨이퍼 상세 구조가 찍히기가 어려운데 기차게 잘 찍었네요. 기존에 알려져있던 다이 이미지가 좌측이고 우측이 위의 사진을 편집한 것인듯.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다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죠. (AMD Fusion APU, Llan.. 2010. 11. 6.
IDF2010 샌디브릿지 추가정보. - 웨이퍼, 다이샷. - 제품샷. 데스크탑용. 모바일용. - 프레젠테이션샷. - 데스크탑 제품 쿨러. 95 / 65w용, 45 / 35w용. 배수락 버전용 쿨러인듯.(K제품) 2010. 9. 17.
AMD, Zacate APU 시연회. http://www.anandtech.com/show/3920/amd-benchmarks-zacate-apu-2x-faster-gpu-performance-than-core-i5 자카테는 밥캣 기반의 제품으로, 밥캣 기반 제품엔 노트북 타겟의 자카테와 넷북 타겟의 온타리오가 있습니다. 자카테 + DDR3 싱글채널 시스템의 데모 시연. 게임 - City of Heroes 설정 - 1024 x 768 로우 퀄리티 27~34 fps 이 나와서, 14~19 fps 가 나온 i5 기반 노트북의 두배 수준의 성능이고, 이는 이전에 동일 사이트에서 프리뷰했던 샌디브릿지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입니다.(인텔 샌디브릿지 성능 프리뷰.) 샌디브릿지의 cpu 클럭이 상당히 높은 등, 자카테에 비해 샌디브릿지 cpu성능이 월등하.. 2010. 9. 14.
인텔, IDF2010에서 샌디브릿지 데모 공개. IDF = Intel Developer Forum 이전 제품과의 비교. 네할렘보단 확실히 작아졌네요. 올해 말에는 22nm 공정을 들어간다고하네요. 내장gpu의 성능이 2010년엔 07년의 10배가 될거라로 07년에 예측을 했는데 실제로는 25배가 상승했다고 자랑. cpu 캐시에서 링버스 구조를 쓰는 날이 올줄이야. 터보부스트 관련 내용. 샌디브릿지의 레퍼런스 쿨러. 대책없이 얇은 저건 35w, 65w, 95w 제품 중에서 아마 35w 제품용이겠죠? 저걸 65w에 쓰게하는건 진짜 양심없는 원가절감 방법인듯. 그만큼 발열이 적다는 말이기도 하겠지만요. 오버클럭 안 된다는데 오버 걱정도 없겠다, 저렇게 만들어버린건가. LGA1155 소켓. ITX 보드. 인텔 P67 보드. 사타포트도 6개 밖에 없고 뭔가 허.. 2010. 9. 14.
AMD Fusion APU, Llano 사진. 다이 이미지. - Llano 페넘2 기반 cpu + hd5000기반 gpu에요. 32nm SOI HKMG 공정. 글로벌파운드리 제작. 이전 페넘2가 코어당 L2 캐시 512KB였는데, Llano는 코어당 1MB네요. 그리고 L3 캐시가 없네요. 온타리오와 비교해서보면, gpu는 160sp정도되는듯. 2010. 9. 11.
인텔 샌디브릿지의 내장 그래픽 종류. http://cgit.freedesktop.org/xorg/driver/xf86-video-intel/commit/?id=53767cc0d0a58d36cd445da3a31c65b349eebbba 역시나 드라이버에서 노출. 데스크탑 - GT1, GT2, GT2_PLUS 모바일 - M_GT1, M_GT2, M_GT2_PLUS 서버 - S_GT 총 7종류. 이전에 알려진 정보로는 GT1은 6EU(실행유닛), GT2는 12EU 였음. GT2_PLUS 는 고클럭 제품으로 추측. 샌드브릿지 라인업. 예상. GT1 - 그래픽 클럭 650 / 1100MHz or 1250MHz, 6eu GT2 - 그래픽 클럭 850 / 1100MHz, 12eu GT2_PLUS - 그래픽 클럭 850 / 1350MHz, 12eu M_GT.. 2010. 9. 9.
AMD Fusion Ontario APU 공개. http://www.techpowerup.com/130225/AMD_s_Fusion__Ontario__APU_Chip_Pictured.html 온타리오는?? 불도저 기반 + gpu. tsmc 40nm 공정. 보이듯이 울트라씬, 넷북, 타블렛 등 휴대용 기기를 위한 제품입니다. BGA 패키징이어서 경쟁상대인 인텔의 아톰, 비아의 나노처럼 보드에 패키징된 상태로 판매하거나, 울트라씬, 놋북같은 제품으로 만나게될겁니다. 라인업과 소비전력을 놓고 말이 많았는데, 이번 공개로 다 정리되었습니다. 밥캣 기반의 제품이 자카테와 온타리오 두가지가 있으며, 자카테가 18w, 온타리오가 9w. 자카테가 현재 인텔 네할렘기반이나 차기 샌디브릿지와 비교하면, 자카테 듀얼 20w + Hudsin D1 칩셋 6w = 26w i3.. 2010. 9. 4.
인텔, 모바일용 샌디브릿지 추가정보. http://www.anandtech.com/show/3876/intels-core-2011-mobile-roadmap-revealed-sandy-bridge-part-ii/1 가장 눈에 띄는건 intel graghics EUs 통합쉐이더가 12sp 인겁니다. 이전 포스팅(인텔 샌디브릿지 성능 프리뷰.)에서 보여줬던 것이 6eu에서의 내장그래픽 성능입니다. 모바일용에는 12eu가 들어가고, 데스크탑에는 일부 제품만이 12eu를 탑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모바일용에서 내장그래픽 비중이 더 높기때문이겠지요. 데스크탑은 가격과 성능을 생각하면 (K가 붙은 배수락 해제 제품같은) 상위 제품에 들어가야하겠지만, 시스템 구성 측면과 저가형 제품의 판매를 위해서 오히려 하위 제품에 12eu를 쓸지도 모르겠습니.. 2010. 8. 31.
인텔 샌디브릿지 성능 프리뷰. http://www.anandtech.com/show/3871/the-sandy-bridge-preview-three-wins-in-a-row 현재까지 공개된 샌디브릿지에 대한 정보와, 벤치마크가 정리된 기사입니다. 마지막에도 썼지만, 절대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이걸 믿으면 안 됩니다. 괜히 프리뷰가 아니에요. 벤치마크라고 부를 수 없는 정보입니다. 1. 새로운 네이밍. 제품명과 라인업에 대한 설명은 이전에 다뤘으니 참고하세요. (인텔 Sandy Bridge 로드맵 유출.) 2. 새로운 아키텍처. 2세대 32nm HKMG(High-K Metal Gate) 공정. AVX 명령어 지원. GPU, 메모리 컨트롤러 내장. 이전 클락데일, 애런데일과는 다르게 L3 캐쉬를 GPU와 공유. 2세대 터보부스트 기술... 2010. 8. 29.
인텔 8코어 샌디브릿지 정보. http://www.xtremesystems.org/forums/showthread.php?t=256851 샌디브릿지 라인업 중 6코어, 8코어의 하이엔드는 LGA2011 소켓으로 알려져있습니다. JC 출처의 자료는 신빙성이 있다는데 전 모르겠네요. 소켓 사진입니다. 색반전을 했네요. 이러면 뭐가 바뀌나요. 다시 편집해줍니다. 보기 편해졌을뿐 특별한 정보가 나오는건 아닙니다. 여기도 색반전을. 쿨러가 장착되어 있다는건 홀간격이 기존 소켓과 같다는 의미로 기존 쿨러를 쓸 수 있다는거겠죠. 보드 상태만보면 뒷면에 설치한걸 찍은듯? 보안 유지인가. 하이퍼스레딩으로 8코어 16스레드입니다. L2 캐쉬가 코어당 256KB L3 캐쉬가 20MB AES, AVX 를 지원합니다. 2010.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