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84

모바일 AP 둘러보기. (4) Cortex-A5 (1) 기起 : Cortex-A5 Cortex-A5 는 Cortex-A9 처럼 Cortex-A8 를 잇는 아키텍처로 보아야합니다. Cortex-A9 가 고성능을 위해 업그레이드되었다면, Cortex-A5 는 저전력을 위해 다운그레이드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ARM11 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해야겠지만, 포지션상 그렇다는거지요.) 그렇기때문에 멀티코어 지원, 부동소수점유닛 등 Cortex-A9 의 스펙을 따르는 한편, In-Order (순차실행) 같이 Cortex-A8 과 동일한 부분도 있고, L1 캐시가 반으로 줄고, 파이프라인이 축소되는 등 Cortex-A8 보다 떨어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명령어처리능력(정수연산)은 1.57 Dmips/MHz 로 2.0 Dmips/MHz 인 Cort.. 2012. 1. 27.
모바일 AP 둘러보기. (3) Cortex-A9 (1) 기起 : Cortex-A9 Cortex-A9 는 Cortex-A8 에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In-Order (순차실행)에서 Out-of-Order (비순차실행)으로 바뀐 것입니다. 무겁고 느린 명령어를 처리하게되면 병목으로 인해 체감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순차실행에 비해, 비순차실행은 실제 성능향상치보다 체감성능향상을 더 크게 느낄 수 있게 만드는 부분입니다. 멀티코어 지원도 중요한 변화입니다. 명령어처리능력(정수연산)은 2.5 Dmips/MHz 로 Cortex-A8 에 비해 25% 증가했으며, 부동소수점연산 유닛도 대폭 강화되어, 성능이 Cortex-A8 에 비해 3배 수준으로 증가합니다. 비로소 모든 면에서 스냅드래곤을 넘어서는 성능을 갖춘겁니다. (좀 오래걸렸지요?) (.. 2012. 1. 26.
모바일 AP 둘러보기. (2) Cortex-A8 (1) 기起 : Cortex-A8 ARM의 Cortex-A8 을 이전의 ARM11 에 비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명령어처리능력(정수연산)은 1.2 Dmips/MHz 에서 2.0 Dmips/Mhz 로 70% 가까이 상승하였고, 부동소수점연산 성능은 동클럭에서 2배로 증가했습니다. 비록 부동소수점연산 성능은 스냅드래곤에 크게 뒤졌지만, 연산의 80~90% 가 대부분이 정수연산인 상황에서 그런건 경쟁에 문제가 되지 못 했습니다. Cortex-A8 기반의 제품을 생산하는 곳은 Ti, 삼성, Rockchip, Marvell, ZiiLAB 등이 있고, 이 중에 메이저는 Ti 와 삼성이였지만, 단연 부각을 나타낸 곳은 삼성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삼성의 허밍버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겠습니다. (삼성의 허밍.. 2012. 1. 24.
모바일 AP 둘러보기. (1) Scorpion 스마트폰, 태블릿에 쓰이는 AP(Application Processor)는 수십종이지만, 기반이 되는 아키텍처는 4가지 정도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스냅드래곤의 Scoripon ARM의 Cortex-A8, Cortex-A9, Cortex-A5 앞으로 각 아키텍처들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는 스냅드래곤의 Scorpion 입니다. 스냅드래곤은 원래 금어초를 말하는거지요. 수십개의 꽃이 금붕어가 입을 벌리는 것 같아서 붙은 이름이라던데, 별로 그렇게 안 보이네요. -_-;; 영국에서는 금붕어가 아닌 용같다고, 스냅드래곤이라고 이름 붙였답니다.(Snap Dragon) (1) 기起 : Snapdragon 아이폰이 역사상 최초로 장난감으로써의 스마트폰의 가능성을 직접 보여주고 있을 때, 퀄컴에서는 .. 2012. 1. 23.
인텔 Medfield 플랫폼 (Penwell SoC) 성능 분석. CES 2012 에서 인텔의 Medfield 플랫폼(메드필드) 시연이 있었습니다. 이전 정보, 추측과 비교하면서 보겠습니다. (인텔의 32nm 스마트폰/타블렛용 플랫폼.) Medfield 플랫폼의 Penwell SoC ATOM Z2460 - CPU : Saltwell. ATOM 기반 듀얼싱글코어(하이퍼스레딩 지원, 1코어 2스레드) 1.6GHz - 메모리 : LPDDR2 667~800MHz 지원. 듀얼채널 - GPU : SGX540 기반. 400MHz - 인텔 32nm HKMG 공정. 발표 당시에는 2011년으로 예정되어있었지만, 결국 해를 넘겼네요. 인텔이 보통 신공정으로 데스크탑 CPU를 양산하고나서, 1~2년쯤 지나서야 아톰에 적용되는데, 32nm 데스크탑 CPU가 나온 때를 생각하면, 2011년은.. 2012. 1. 12.
모바일 GPU 성능 비교. v12.1 (클릭하면 커집니다.) - 참고사항 1. GLBenchmark 2.1 offscreen 720p 프레임값 기준. 실제 게임성능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 Egypt 는 OpenGL ES 2.0 기반 테스트, Pro 는 OpenGL ES 1.x 기반 테스트. 3. 720p 결과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 다른 테스트에서 동일 해상도의 제품끼리 비교하여 프레임 역산. (Adreno205, 220 해당) v12.1 1. SGX531 추가. 2. OMAP4460 클럭 수정. (384MHz -> 307MHz) (https://github.com/supercurio/android-omap-tuna/blob/android-omap-tuna-3.0-mr0/drivers/gpu/pvr/omap4/sysconfig.h) .. 2012. 1. 8.
ARM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v12.1 지난 포스트의 갱신판입니다. (ARM 아키텍처, 제조사별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 v12.1 변경점 1. 80여개이던 자료수가 200여개로 늘었습니다. 추가적인 리뷰로 인해 한자리 수의 증가는 있겠지만, 새로운 스마트폰 리뷰 사이트가 발견되지 않는한 이번처럼 급증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버전표시. 12.1 은 12년 1월 기준이라는 얘기입니다. 카탈리스트 방식을 따왔습니다. 특별한 추가 자료가 없는한 갱신은 없습니다. 3. ARM11, Cortex-A5 추가. Cortex-A5 는 저가형 스냅드래곤(싱글코어)에 제법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4. 1GHz 기준 멀티스레드 성능 차트 추가. 5. 싱글, 멀티스레드 간의 비율을 활용하여 멀티코어 성능 향상 비율 차트 작성. 6. 테그라.. 2012. 1. 3.
2011년 티스토리 우수블로그로 선정되었습니다. http://www.tistory.com/thankyou/2011/ 전혀 생각도 안하고 있다가 유입경로에 선정 페이지가 있는걸 보고나서야 알았네요. 300명 중에 IT분야 하위권이지만 뽑힌게 어딥니까.ㅋ - 주는 것도 많네요. 오는 사람들한테 자랑하라고 우수블로그 배지도 주고, (플러그인) 초대장도 100장이나 주는군요. (이제까지 고작 5장 주더니만 한꺼번에 이게 뭐야 -_-;;) 한달에 10장씩 꾸준히 뿌려야할듯. 부의 불평등한 분포는 죄악입니다. 무슨 선물을 또 보내준다네요. 블로그 덕에 물질적으로 덕보는건 이게 처음.;; - 그건 그렇고 일평균 방문자 900~1500명에 불과한 미천한 블로그가 우수 블로그라니, 뭔가 음모가 있는게 분명합니다. ...라는건 농담이고... (선정 기준이 궁금한건 사실.. 2011. 12. 22.
ARM 아키텍처, 제조사별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 비교. Linpack(린팩) 안드로이드 버전은 린팩 기반으로 개발한 자바 버전이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측정합니다. 계산 밀집형 스레드 Ax=b를 통해 계산 속도를 알아냅니다. 안드로이드 Dalvik 가상 머신에서 부동소수점 연산 테스트를 합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ARM 기반으로 아키텍처는 다음 정도입니다. Cortex-A8 Cortex-A9 퀄컴의 Scorpion 같은 아키텍처라도 제조사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찾아본 자료는 다음 정도입니다. 컴퓨터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아는바가 없기때문에 각 아키텍처의 차이에 따른 성능 차이의 원인은 정확히 모르겠네요. (작은 사진은 클릭하면 커짐.) http://www.anandtech.com/show/49.. 2011. 12. 22.
PS Vita 탑재 SoC 분석. http://www.4gamer.net/games/017/G001762/20111217001/ http://www.4gamer.net/games/144/G014402/20111125078/ http://pc.watch.impress.co.jp/docs/topic/feature/20111217_499750.html http://www.4gamer.net/games/000/G000000/20111217023/ PS Vita (PlayStation Vita, 이하 플스비타)가 출시되었더군요. 비타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기존의 플레이스테이션과 개발 컨셉이 크게 다릅니다. (그 동안해왔던 방식처럼) cpu, gpu 코어를 자사에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이미 있는 표준 IP에 약간의 커스터마이즈를 더한 것을.. 2011.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