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에서 Jetson TX2 개발킷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알려진 파스칼 아키텍처 GPU 기반 테그라, 코드네임 파커(Parker)입니다.
이름으로보아 이번 테그라는 테그라 X2 정도로 부를 수 있을듯 합니다.
사양은 알려진대로
Denver x2 + Cortex-A57 x4
파스칼 기반 GPU (256코어)
128bit LPDDR4 (대역폭 58.4GB/s) -> 1833MHz
두 가지 모드가 있다고 합니다.
MAX-Q : 최대 에너지 효율. 전력 7.5W 이하. (TX1 대비 에너지 효율 최대 2배)
MAX-P : 최대 성능. 전력 15W 이하. (TX1 대비 성능 최대 2배)
아난드텍에 따르면 각 모드별 클럭은 아래와 같습니다.
(링크 : http://www.anandtech.com/show/11185/nvidia-announces-jetson-tx2-parker)
MAX-Q
GPU : 854MHz
A57 : 1.2GHz
Denver : X
MAX-P
GPU : 1122MHz
A57 : A57 단독 2GHz, Denver와 함께 구동시 1.4GHz
Denver : Denver 단독 2GHz, A57과 함께 구동시 1.4GHz
최대 클럭
GPU : 1302MHz
A57 : 2GHz 이상
Denver : 2GHz
- 예전에 파커의 GFX벤치 결과가 잠깐 올라왔다가 삭제된적이 있는데,
(링크 : 엔비디아 테그라 파커 GFX벤치 결과분석 (Tegra Parker))
시스템 정보를 보면 CPU가 A57 1.9GHz로 나왔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모드 대로 돌아갔다면 최대 클럭 동작에 가깝습니다.
당시 GPU 클럭은 1.34GHz 정도로 추정했었는데 오차 3%이니 크게 벗어나진 않았네요.
당시 결과가 1302MHz의 것이라면, 맥스웰 코어였던 테그라X1 대비 동클럭에서
카 체이스 +3% / 맨해튼3.1 +10% / 맨해튼 -4% / 티렉스 +13% 의 성능입니다.
텍스처링 결과 기준으로 1083MHz여서 1122MHz 결과일 가능성도 있는데, 이 경우 테그라X1 대비 동클럭 성능은
카 체이스 +19% / 맨해튼3.1 +28% / 맨해튼 +11% / 티렉스 +31% 입니다만,
맥스웰 -> 파스칼 아키텍처의 성능 향상을 10~15% 정도로 보는 점을 감안하면 1122MHz의 결과로 보기는 좀 힘들듯 합니다.
정확한 성능 향상치는 일반 사용자용 모바일 제품에 탑재되어 나오고, 벤치마크가 나와야할텐데 제품 사양이나 소비전력, 타겟 제품부터가 일반적인 모바일 시장과는 거리가 있어서 실제 제품화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CPU를 보면 이 역시 긱벤치 결과가 올라온 적이 있습니다.
(링크 : 차세대 테그라 긱벤치3 결과 분석. (파스칼 사양))
당시 결과를 보면 싱글코어 성능은 Denver 코어 2.0GHz와 유사하고, 시스템 정보의 클럭이 2.0GHz인 것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리틀코어 격인 A57 클럭도 2.0GHz라고 볼 수 있는 상황이어서,
Denver 2.0GHz x2 + A57 2.0GHz x4 라는, 당시에는 약간 납득하기 힘든 클럭 구성이었는데 결과적으로 실제 그런 구성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긱벤치 결과 기준으로는 Denver 코어와 Denver2 코어의 동클럭 점수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스마트폰 > nvidia Teg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JETSON TX2 발표. (테그라 X2) (6) | 2017.03.09 |
---|---|
엔비디아 테그라 파커 GFX벤치 결과분석 (Tegra Parker) (17) | 2016.10.11 |
차세대 테그라 긱벤치3 결과 분석. (파스칼 사양) (24) | 2016.07.20 |
엔비디아 테그라X1 초기 벤치마크 분석. (Tegra X1) (24) | 2015.05.28 |
엔비디아 테그라 X1 발표. (2) GPU (Tegra X1, Maxwell) (23) | 2015.01.13 |
엔비디아 테그라 X1 발표. (1) CPU (Tegra X1) (21) | 2015.01.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놈이 스위치에 들어갔어야 정상이아닐런지? 파커자체는 발표한지 좀 됐고 파스칼도 나온지 꽤됐고 16nm도 나온지 꽤 됐으니 단순히 원가절감외엔 이유를찾을수없음 ㅋ
MAX-Q로 돌려도 TDP가 7.5W라서 휴대용 게임기에 넣기에는 여전히 무리가 있었을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테그라X1이 휴대용 게임기에서 충분한 배터리 타임을 보장할 정도로 저전력이건 아니라서 닌텐도가 욕 먹는건 피할 수 없지만요.
에이 맥스웰도 클럭반토막내지않나요? 휴대용모드에서 400MHZ인가 그정도로 돌아간다던데 MAX-Q 의 850MHZ까진 아니어도 600MHZ정도로 낮추고돌리면 괜찮겠죠 50%성능도 무시할만한성능은아니구요
MAX-Q 클럭보면 소비전력때문에 Denver는 아예 쓰지도 않고 A57도 고작 1.2GHz지요.
GPU 클럭은 약간 내려봐야 전력 절감 효과도 적고 CPU는 더 성능 내릴 마진도 없습니다.
저 포인트가 전성비 최대 포인트라는 얘긴데 거꾸로 말하면 저기서 클럭 좀 더 올리든 낮추든 그렇게 극적으로 소비전력이 변하지 않는다는겁니다.
실제 해보지 않는 이상 100% 확정할 수는 없지만 테그라X1을 쓰든 X2를 쓰든 현재 스위치 하드웨어 구성에서는 성능이 만족스러우면 배터리 타임이 불만족스러울거고, 배터리 타임이 만족스러우면 성능이 불만족스러울 수 밖에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스위치 보면 성능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닌텐도 최적화가 문제 인 것 같아요;;; 그 사양에 다른 모바일 업체들 그래픽 최적화가 더 나은 듯한 느낌이라;;;물론 그거 빼고 게임 자체 재미는 확실히 닌텐도답게 잘 구현한 건 맞는 것 같구요. 그냥 외주 주는게 나을 것 같다는 느낌도 듭니다.
직접 안 해봐서 모르겠지만 얘기만 들어보면 hw,sw 총체적 난국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