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삼성 SAMSUNG

엑시노스2500 빅코어 클럭 추정. (Exynos2500, S5E9955)

by gamma0burst 2024. 6. 3.
반응형

 

 

- 최근 ARM의 Cortex-X925 발표 자료, 골든리뷰어 테스트 자료로 엑시노스2500 빅코어 클럭을 계산해봤음.

 

 

- 자료

골든리뷰어 spenint06 테스트 자료.

 

( Cortex-X925 발표자료 분석/성능 추정. )

자료를 종합해봤을 때 Cortex-X4 그래프는 최고점이 3.4GHz, 골든리뷰어 D9300 테스트가 두 개인데 클럭-전력 포인트가 그래프와 잘 맞아서 D9300 그래프로 추정.

Cortex-X925 그래프는 최고점 3.8GHz이고 3nm(N3E?) 공정으로 추정.

 

 

- 엑시노스2400 클럭-전력 모델링

 

기본적으로 D9300 그래프를 따라간다고 가정하고 클럭(가로), 전력(세로)를 일정 비율로 늘리거나 줄여서 맞춤.

골든리뷰어 자료에서 엑시노스2400은 3.2GHz-7.34W, 2.784GHz-4.52W

클럭이 13% 낮아질 때, 전력이 18% 낮아지는건데 이 조건을 맞추는 축소 비율을 찾아보면

D9300 그래프에서 클럭을 60.5%로, 전력을 42.7%로 줄이는게 가장 잘 맞음.

그 결과가 위의 E2400 그래프임.

 

 

- Cortex-X4 → Cortex-X925 클럭-전력증가 비율 모델링

ARM 발표 자료에서 X축을 성능에서 클럭으로 바꾸면 위의 D9300 - X925 그래프로 표기됨.

여기서 공정 성능 차이에 의한 전력 차이를 보정하고, 동클럭에서 Cortex-X4 → Cortex-X925 에서의 전력 증가 비율을 계산해서 모델링하면 아래와 같이 나옴.

 

공정 차이는 N4P → N3E 로 가정했고 공개된 자료대로면 동일성능에서 전력은 최대 17% 감소임.

(0.75 → 0.7~0.65)

 

 

- 엑시노스2500 클럭-전력 모델링

엑시노스2400 클럭-전력 커브에, 앞서 계산한 Cortex-X4 → Cortex-X925 전력증가 비율을 반영하고, 공정 차이에 의한 전력 감소율을 반영해서 엑시노스2500 클럭-전력 커브를 모델링해보면 아래와 같음.

공정은 SF4P → SF3 로 예상되고 알려진 자료대로면 동일 성능에서 전력은 최대 27% 감소로 보임.

(0.9 → 0.66)

물론 이건 삼성이 퀄컴, 미디어텍에 비해 CPU 전성비에서 열세인 상태가 그대로 간다는 가정 하에서 나온 결과임.

(Cortex-A78 제품군 Specint06 결과 분석.)

 

 

- 엑시노스2500 빅코어 최대 클럭 추정

골든리뷰어 자료에서 빅코어 전력 최고치를 찍은게 엑시노스2400의 7.34W임.

현실적으로 이 이상의 전력은 힘들다고 보고 7.34W를 한계치로 가정함.

위에서 만든 엑시노스2500 클럭-전력 커브에서 7.34W인 클럭을 찾으면 3.38GHz가 나옴.

이걸 3.4GHz로 올려서 설정하기는 어려워보이고 3.3GHz로 낮추는게 타당해보이고 이 때 전력은 6.71W.

 

 

- 타 제품과 비교? (긱벤치6)

ARM 발표치대로면 3.3GHz에서 긱벤치6 싱글점수는 2800점 내외가 됨.

스냅8G4나 A18 루머를 보면 3000점은 돼야 경쟁이 가능할거 같은데 그러려면 3.5GHz는 돼야됨.

그러기위해서는 공정 성능이 예상보다 잘 나오거나 설계에서 보이는 전력/전성비 열세를 완화하는게 필요해보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