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삼성 SAMSUNG

S5E5535 유출 정보 검증. (Exynos W1000 ?)

by gamma0burst 2024. 6. 23.
반응형

 

 

- 엑시노스 W1000으로 알려지고 있는 S5E5535와 관련된 유출 정보가 실제 믿을만한지 검증해봤음.

 

 

- 유출정보 정리

기존 루머

CPU : Cortex-A78 x1 + Cortex-A55 x4

GPU : Mali-G68MP2

공정 : SF3

갤럭시 워치7, 워치 울트라 탑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laxy&no=1384839)

클럭 1.6GHz

 

 

- 커널 정보

최근 출시된 갤럭시 제품 커널에서 S5E5535 관련 폴더를 확인.

내부 파일 내용 중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음.

cpufreq_cpu_get의 숫자는 코어 카운팅으로 추측됨.

다른 제품의 해당 내용을 보면 엑시노스1280 이후 제품에서 실제 코어 구성과 완전히 일치함.

위 내용을 해석하면 CPU 클러스터0은 0~3의 4코어이고, 클러스터1은 1개 이상의 코어라는 것임.

다만, 1개 이상이라는 것만 확인할 수 있지 구체적으로 몇 개인지는 확정할 수 없음.

어쨌든 2개의 클러스터, 리틀코어가 4개인 것으로 보여서 루머와 일치함.

 

 

- CPU 아키텍처

기존 웨어러블 AP가 A55 듀얼코어였는데 S5E5535는 최소 리틀코어 4코어로 증가했음.

 

ARM 발표를 보면 A55 이후 리틀코어 아키텍처는 전성비 악화, 면적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피크 성능 증가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 때문인지 저성능 구간의 전성비 개선은 거의 없음.

안 그래도 코어 수가 증가했는데 A510이나 A520으로 아키텍처를 변경할 메리트가 매우 적은 것.

절대적인 낮은 전력이 중요한 웨어러블용 제품에서는 더욱 그러함.

 

리틀코어가 A55면 빅코어는 A78로 보는 것이 타당함.

이론상 A78 이전 아키텍처도 A55와 빅리틀을 구성할 수 있지만, A78을 사용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됨.

삼성을 비롯한 퀄컴, 미디어텍 등 현존 거의 모든 AP 제조사가 아직까지 중저가형 제품에 A78을 유지하고 있는걸보면 여러가지 면에서 A78이 균형잡힌 아키텍처로 평가받는다고 볼 수 있음.

 

 

 

- 웨어러블 AP에서 Cortex-A78 1.6GHz가 가능한가?

S5E5535는 SF3 공정으로 예상되는데 아무리 3nm 공정이라도 웨어러블 AP에 빅코어 아키텍처인 A78 탑재가 가능할 것인가.를 따져봐야됨.

 

1. Exynos W920 코어 전력 추정.

(https://www.anandtech.com/show/16983/the-apple-a15-soc-performance-review-faster-more-efficient/2)

(https://x.com/Golden_Reviewer/status/1507553474736627718)

먼저 기존 제품인 W920의 코어(A55, 1.18GHz) 전력을 추정해보겠음.

A55 전력 자료를 취합해보면 위와 같은데 W920과 조건이 가장 유사한 엑시노스2100을 기준으로 삼았음.

 

클럭이 2.21GHz → 1.18GHz, 47% 감소

엑시노스2100의 ASV 테이블을 참고하면 전압은 0.875V → 0.6V, 31% 감소

이걸로 5LPE, A55, 1.18GHz의 전력을 계산하면 0.133W

 

W930에서 클럭이 1.4GHz로 오르는데 이건 전력을 더 쓴게 아니라, 5LPE 공정이 안정화되면서 동일 전력에서 클럭을 올릴 수 있는 마진이 확보된게 아닌가 추측됨.

(https://www.anandtech.com/show/16463/snapdragon-888-vs-exynos-2100-galaxy-s21-ultra/2)

 

 

2. 애플 S시리즈 코어 전력

(https://www.anandtech.com/show/13392/the-iphone-xs-xs-max-review-unveiling-the-silicon-secrets/5)

(https://www.anandtech.com/show/14892/the-apple-iphone-11-pro-and-max-review/2)

(https://www.anandtech.com/show/16983/the-apple-a15-soc-performance-review-faster-more-efficient/2)

애플 S시리즈 코어 전력 자료를 취합하면 위와 같음.

클럭 셋팅을 봐도 A시리즈와 거의 같게 들어가고 있고, S9 다이샷을 보면 A16 리틀코어가 거의 변경(저전력 재설계같은 것)없이 이식된 것으로 보임.

A시리즈로 측정한 리틀코어 전력값이 S시리즈에서 그대로 나타날거라고 추측할 수 있음.

그렇다면 S시리즈 코어 전력은 0.3~0.4W 정도로 추측됨.

 

 

3. SF3 공정 Cortex-A78 1.6GHz 전력 추정.

(goldenreviewer)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laxy&no=874122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laxy&no=1368024)

삼성 공정 A78 전력 자료를 취합하면 위와 같음.

여기서는 가장 최근 제품인 엑시노스1480을 기준으로 삼았음.

 

클럭은 2.75GHz  → 1.6GHz, 42% 감소.

공정은 SF4(4LPP) → SF3이면 전력 34% 감소.

엑시노스2100 ASV를 참고하면 전압은 0.97V  → 0.66V, 32% 감소.

(사실 전압은 최소 4nm 공정 제품의 값을 써야되는데 엑시노스2100 이후 제품의 ASV 테이블 확보가 안 됨.)

이걸로 SF3, A78, 1.6GHz의 전력을 계산하면 0.327W

 

 

- S5E5535 CPU 정리

루머 : Cortex-A78 x1 1.6GHz + Cortex-A55 x4

커널 정보 : ?+4 코어 구성 확인.

SF3 공정에서 Cortex-A78 1.6GHz 전력은 0.33W 정도로 추측되며, 이는 애플 S시리즈 전력과 유사해서 웨어러블 AP 탑재 가능한 수준으로 생각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