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984 AMD Radeon HD6700 스펙. chiphell에서 유출한건데, 아무리 찾아도 안 나오는거보니 잠깐 올렸다 내렸나보네요. (클릭하면 커짐.) 이전에 있었던 리네이밍설은 루머였나봅니다. 성능은 5770 2010. 9. 27. IDF2010 샌디브릿지 추가정보. - 웨이퍼, 다이샷. - 제품샷. 데스크탑용. 모바일용. - 프레젠테이션샷. - 데스크탑 제품 쿨러. 95 / 65w용, 45 / 35w용. 배수락 버전용 쿨러인듯.(K제품) 2010. 9. 17. AMD, Zacate APU 시연회. http://www.anandtech.com/show/3920/amd-benchmarks-zacate-apu-2x-faster-gpu-performance-than-core-i5 자카테는 밥캣 기반의 제품으로, 밥캣 기반 제품엔 노트북 타겟의 자카테와 넷북 타겟의 온타리오가 있습니다. 자카테 + DDR3 싱글채널 시스템의 데모 시연. 게임 - City of Heroes 설정 - 1024 x 768 로우 퀄리티 27~34 fps 이 나와서, 14~19 fps 가 나온 i5 기반 노트북의 두배 수준의 성능이고, 이는 이전에 동일 사이트에서 프리뷰했던 샌디브릿지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입니다.(인텔 샌디브릿지 성능 프리뷰.) 샌디브릿지의 cpu 클럭이 상당히 높은 등, 자카테에 비해 샌디브릿지 cpu성능이 월등하.. 2010. 9. 14. 인텔, IDF2010에서 샌디브릿지 데모 공개. IDF = Intel Developer Forum 이전 제품과의 비교. 네할렘보단 확실히 작아졌네요. 올해 말에는 22nm 공정을 들어간다고하네요. 내장gpu의 성능이 2010년엔 07년의 10배가 될거라로 07년에 예측을 했는데 실제로는 25배가 상승했다고 자랑. cpu 캐시에서 링버스 구조를 쓰는 날이 올줄이야. 터보부스트 관련 내용. 샌디브릿지의 레퍼런스 쿨러. 대책없이 얇은 저건 35w, 65w, 95w 제품 중에서 아마 35w 제품용이겠죠? 저걸 65w에 쓰게하는건 진짜 양심없는 원가절감 방법인듯. 그만큼 발열이 적다는 말이기도 하겠지만요. 오버클럭 안 된다는데 오버 걱정도 없겠다, 저렇게 만들어버린건가. LGA1155 소켓. ITX 보드. 인텔 P67 보드. 사타포트도 6개 밖에 없고 뭔가 허.. 2010. 9. 14. AMD Fusion APU, Llano 사진. 다이 이미지. - Llano 페넘2 기반 cpu + hd5000기반 gpu에요. 32nm SOI HKMG 공정. 글로벌파운드리 제작. 이전 페넘2가 코어당 L2 캐시 512KB였는데, Llano는 코어당 1MB네요. 그리고 L3 캐시가 없네요. 온타리오와 비교해서보면, gpu는 160sp정도되는듯. 2010. 9. 11. HD6770? 6870? 제품 사진 유출. Bart XT 코어를 사용한 제품인데, 이게 원래 예상대로면 네이밍이 HD6770, 리브랜딩이되면 HD6870이 됩니다. 디지털 전원부, 1GB GDDR5 256bit, 2x 6핀 전원, DVI x2 HDMI x1 mini-DisplayPort x2 출력. 출력 단자부에 패널도 없는걸봐선 엔지니어링 샘플이죠. 기판 길이는 24cm정도인듯(HD4870 정도.) 크로스파이어 단자가 한개인게 좀 걸리네요. 하나로도 충분하다는건지. 쿨러가 좀 허접해보이는데, 저게 레퍼런스 쿨러면 저정도로 감당할만한 발열이라는 얘기고, 소비전력도 생각보다 높지 않다는 얘기가 되죠. 256bit에 6핀전원이 2개나 필요한 소비전력이면, 예상 외의 높은 성능을 보여줄지도 모르겠습니다. 제품 사진을 보니 리브랜딩이 왠지 사실일 것 같.. 2010. 9. 11. 인텔 샌디브릿지의 내장 그래픽 종류. http://cgit.freedesktop.org/xorg/driver/xf86-video-intel/commit/?id=53767cc0d0a58d36cd445da3a31c65b349eebbba 역시나 드라이버에서 노출. 데스크탑 - GT1, GT2, GT2_PLUS 모바일 - M_GT1, M_GT2, M_GT2_PLUS 서버 - S_GT 총 7종류. 이전에 알려진 정보로는 GT1은 6EU(실행유닛), GT2는 12EU 였음. GT2_PLUS 는 고클럭 제품으로 추측. 샌드브릿지 라인업. 예상. GT1 - 그래픽 클럭 650 / 1100MHz or 1250MHz, 6eu GT2 - 그래픽 클럭 850 / 1100MHz, 12eu GT2_PLUS - 그래픽 클럭 850 / 1350MHz, 12eu M_GT.. 2010. 9. 9. 삼성 Cortex A-9 1GHz 듀얼코어 Orion 공식발표. 예전에 나왔던 삼성의 로드맵. 10년 3분기에 Cortex A9 800MHz 듀얼 Orion이 나오고, 11년 1분기에 양산들어간다는데, 발표를 했네요. Cortex A-9MP2 1GHz (코어당 2.5 DMIPS/MHz) 허밍버드와 같은 45nm 공정. L1 캐시 32KB 명령어 + 32KB 데이터, L2 캐시 1MB. 1080P 30fps 디코딩 네이티브 트리플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아키텍쳐 온보드 (두개의 디스플레이로의 출력과 HDMI를 통한 세번째 디스플레이 지원) HDMI 1.3a 임베디드 GPS 허밍버드에 비해 5배 향상된 그래픽 성능. 허밍버드가, 이론 90 million triangle/s, 실성능 20~28 million triangle/s 인데, 이론 성능 기준 5배는 아니겠죠. 그냥 추.. 2010. 9. 8. AMD HD6000 최신 떡밥.-추가- (AMD HD6000 에 대한 정보, 루머, 떡밥들.-추가정보-) 이전 포스팅 이후 공개된 떡밥들입니다. 출시가 다가오니 그동안의 연막작전을 거둬들이고 정보를 풀어대는듯. 그런데 워낙 연막질을 잘해서 지금 공개하는 것도 믿기가 힘들어요.;; 늘 그렇듯이 그냥 참고만. - 그동안 서던 아일랜드(southern island)로 알려진 차기 제품 코드네임은 훼이크로, 이번 제품의 코드네임은 노던 아일랜드(northern island). HD6000 시리즈의 발표는 10월 12일. 제품 출시는 10월 25일 전후. 아키텍쳐가 바뀜. 기존의 4+1(심플 + 컴플렉스)의 쉐이더 클러스터를 심플과 컴플렉스이 중간 복잡도의 4 쉐이더 클러스터로. 기존의 분리된 쉐이더 클러스터에서는 컴플렉스가 거의 활용되지 못 했는데(.. 2010. 9. 8. Nvidia, 노트북용 Geforce 400M 발표. http://www.4gamer.net/games/110/G011058/20100902090/ 이전에 공개된 GTX480M 이하의 제품들을 공개했습니다. 총 7가지 제품. GTX470M GTX460M GT445M GT435M GT425M GT420M 기본적으로 GT425M과 같은 제품으로 클럭만 다릅니다. GT425M과 같은 이미지를 쓴건 그런 이유때문인듯. GT415M 스펙표. 일본어라 보기 힘들테니, 번역본. 텍스쳐유닛 = TMU GTX480M 352sp 총 16개의 sm(=32sp)를 갖는 GF100에서 11sm만 활성화하고, 클럭을 거의 반토막수준으로 낮춰서 소비전력을 노트북용에 간신히 맞췄습니다. 물론 100w는 여전히 노트북이라기보단 아무리 잘 봐줘도 데스크노트급의 소비전력이죠. 왜 만든건지... 2010. 9. 4.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9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