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시노스9820 커널
- Ananke(Cortex-A55), Cortex-A75(Prometheus), Cheetah(Eyxnos M4)
- PLL CPU 클러스터 3개 : M4 CL2 / A55 CL0 / A75 CL1
- (SW?) 2클러스터
CL0 : coregroup0 (core0~3) + coregroup1 (core4,5)
CL1 : coregroup0 (core6,7)
-. cpu0~3 : ananke = A53 / cpu 4,5 : prometheus = A75 / cpu6,7 : cheetah = M4
- little(core0~3), middle(core4,5), big(core46,7) core group
- 테이블상 최대 클럭
A53 1.95GHz / A75 2.3GHz / M4 2.9GHz (M4는 실제 최대 2.73GHz도 탑재.)
- 부스트 클럭
쿼드 모드 : ALL 코어 동작. M4 2.08GHz
듀얼 모드 : A53 4코어 + M4 2코어 동작. M4 2.34GHz
싱글 모드 : A53 4코어 + M4 1코어 동작. M4 2.73GHz
- GPU 최대 702MHz
- 엑시노스 라인업, 코드네임
엑시노스8890 : Jungfrau
엑시노스8895 : Kangchen
엑시노스7880 : Joon
엑시노스7870 : Joshua
엑시노스7570 : Java
엑시노스7885 : Lassen
엑시노스7883 : LassenQ(쿼드? 7885 다운클럭+코어 컷팅?)
엑시노스7884 : LassenO(옥타? 7885 다운클럭)
엑시노스9810 : Lhotse
엑시노스9610 : Ramen
엑시노스9820 : Makalu
엑시노스9110 : ?
- 정리하면 대충 이 정도.
코드네임 컨셉은 9810 시기부터 무너지기 시작한거 같은데 아예 버릴지 다시 맞춰질지...
코드네임 | 산? | 호수? | ||||
접두어 | Flagship | High-end | ||||
I | 7420 | Istor | 산, 힌두쿠시 | 7580 | Insel-D | 호수, 독일어? |
J | 8890 | Jungfrau | 산, 알프스 | 7880 | Joon | 호수, 호주 |
K | 8895 | Kangchen | 산, 히말라야 | 7885 | Lassen | 화산, 캘리포니아 |
L | 9810 | Lhotse | 산, 히말라야 | 9610 | Ramen | |
M | 9820 | Makalu | 산, 히말라야 | |||
코드네임 | 강? | 섬? | ||||
접두어 | Mid-range | Low-end | ||||
I | 7578 | Insel-D | 호수, 독일어? | 3475 | Island | 섬 |
J | 7870 | Joshua | 강, 알래스카 | 7570 | Java | 섬, 인도네시아 |
K | 7872 | Katmai | 화산, 알래스카 | |||
L | 7885(7884,7883) | Lassen | 화산, 캘리포니아 | |||
M | ||||||
코드네임 | 섬? | |||||
접두어 | Wearable | |||||
I | 3250 | |||||
J | 7270 | |||||
K | ||||||
L | ||||||
M | 9110 |
'스마트폰 > 삼성 SAM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S-GPU 정보 (19.04.06.) (10) | 2019.04.06 |
---|---|
엑시노스 클럭 (7884,7884A,7883,7904,9610) (3) | 2019.04.01 |
엑시노스 9820 커널 (Exynos9820) (8) | 2019.03.24 |
엑시노스9810 GPU(Mali-G72) 성능 분석. (GFX벤치) (23) | 2018.04.15 |
갤럭시S9 커널 정보. (엑시노스9810판) (28) | 2018.03.17 |
갤럭시S9/S9+ 긱벤치4 메모리 점수 차이와 원인 분석. (43) | 2018.02.28 |
그놈의 부스트클럭 못 버렸네요
스냅드래곤에 괜히 밀리는게 아니네요
Ax도 부스트클럭 쓰는거 같지만 사실 클럭 차이는 거의 안나서 안쓴다고 해도 무방한데
이놈의 엑시노스는 언제한번 스냅드래곤이나 Ax대비 좋으려나
답글
애플은 부스트클럭대신 빠른쓰로틀링은 택했더라구요...
히트파이프가 없어서 회복속도가 느려서 그렇지, 단발성 벤치 반복이 아닌 롱텀퍼포먼스로 비교하면, 오히려 스로틀링에서도 앞섭니다.
부스트클럭을 쓰는 대신 최대클럭을 부스트클럭만큼 올려놓고, 떨어지기는 스로틀링으로 떨어뜨리는 패시브 컨트롤을 말하시는 것 같은데,
이건 과거 스냅드래곤이나 써먹던 방법입니다.
엑시노스나 애플 칩, 심지어 중국 칩들도 예전이나 지금이나 그런 방법 안 씁니다.
왜냐면 기기 온도가 항상 높게 유지되는 방법이니까요.
굉장히 오랜만에 보는 포스팅 추천!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9825 나오긴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파운드리 분리하면서 개발 여력이 생긴건지...
후속작 코드네임이 바뀌었다면 기존 흐름대로 정했을텐데 그럼 안 맞는거 같네요.
탑재되는 갤럭시 코드네임일지도?
요즘 활동 안하시길래 여기 버리신줄 알았어요 ㅠ_ㅠ 유용한 정보 많이 알게돼서 좋았었는데... 돌아오셔서 너무 반갑습니다.
답글
다시 돌아오셔서 너무 기쁘네요 저희들 버리지마세요~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