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A9의 제조사가 삼성, TSMC로 이원화되면서 어느 쪽 성능이 더 좋은가로 논란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논란을 언급하면서 간단히 공정 성능을 비교했었는데,
(링크 : 애플 A9 논란에 관하여. (삼성, TSMC 공정 비교.))
최근 추가 자료가 나와서 업데이트 해볼까 합니다.
- 기존 결과
기존 결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사실 TSMC, 삼성의 공개치를 사용한 결과에 추정이 들어간 것이기때문에 실제와 맞는지는 미지수입니다.
TSMC 정리.
삼성 정리.
종합 결과.
- 최근 추가 정보
1. 화웨이 발표자료.
(링크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event/20160106_737718.html)
화웨이의 기린950 발표 중 자료입니다.
전력 효율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speed gain으로 봐도 무방한 값입니다.
TSMC 28nm - 100 : 20nm와 차이가 작은 것으로 보아 28HPM으로 생각됩니다.
TSMC 20nm - 106 : 20SOC 겠지요.
삼성 14nm - 159 : 16FF+와 차이를 보면 14LPP로 추정.
TSMC 16FF+ - 170
뒤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20nm가 28nm 대비 향상이 크다는 TSMC 자료와 맞지 않습니다.
파운드리의 인터넷 공개 자료보다 고객사에 제공된 자료인 이 쪽이 더 신뢰도가 높다고 봅니다.
2. 삼성 14LPP 공정 양산 공식 발표.
(링크 : http://www.samsung.com/semiconductor/about-us/news/24581)
기존 자료는 14LPE 대비 speed +10%, 전력 -10% 였는데, 이번 내용은 speed +15%, 전력 -15%로 더 향상된 수치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도 10~14% 향상이 있다는 내용이 있긴 했습니다.)
화웨이 공개자료에서 14LPP와 16FF+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지 않은걸보면 14LPE와 차이가 더 커진 이번 수치가 신뢰도가 높지 않을까 싶네요.
3. 삼성 28LPP 자료.
(링크 : http://www.samsung.com/semiconductor/foundry/process-technology/14nm/)
기존에도 있던건데 이번에 추가했습니다.
14LPE는 28LPP 대비 speed +40%, 전력 -60%
4. Global Foundry 자료. (이하 GF)
삼성 공정 자료가 적어서 (common platform alliance였던) GF 자료를 참고하겠습니다.
뒤에서 다시 얘기하겠지만 이 자료들은 삼성 발표치와 잘 맞습니다.
speed gain
28SLP -> 20LPM : +35%
28HP -> 20LPM : +25%
20LPM -> 20SHP : +10%
28SLP -> 14XM : +61%
28HPP -> 20SHP : +25%
28HPP -> 20LPM : +15%
28LPH -> 20LPM : +20%
28SLP -> 20LPM : +35%
이걸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이 자료는 잘 안 맞습니다.
- 정리
위의 추가 자료로 기존 결과를 갱신해보겠습니다.
1. TSMC
기존 자료.
왼쪽 차트의 내용을 위에서부터 1) 2) 3)..으로 지칭하겠습니다.
중간에 나오는 speed gain값은 (화웨이 자료 기준처럼) 28HPM을 100으로 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값입니다.
7) 20SOC - 28HPM
이번 자료로 이 내용은 부정됩니다.
speed gain은 6%로 수정 적용합니다.
일단 20SOC가 엮인 자료는 우선순위에서 미룰겁니다.
예전에 Cortex-A57 클럭차이를 근거로 6% 차이가 있지 않나 추정한 적이 있는데 이렇게 나오면 제품 클럭을 근거로 speed gain을 추정하는게 아예 틀린 방법은 아닐 가능성도 있을듯 합니다.
(링크 : ARM Cortex-A72 성능 추정.)
우연히 값이 일치했을 수도 있겠지만요.
1) 16FF+ - 28HPM
화웨이 자료대로하면 speed gain은 +65%가 아닌 +70% 입니다.
이건 그나마 차이가 적네요.
3) 16FF+ - 16FF
둘의 차이가 15%라는 기존 자료를 그대로 적용하면 16FF의 speed gain은 170 / 1.15 = 148 입니다.
(20SOC를 100으로 했을 때.)
이게 다른 자료를 근거로 계산한 값과 일치하는지 보겠습니다.
4) 16FF - 28HPM
기존 자료에서 둘의 차이는 38% 입니다.
16FF의 speed gain은 100 x 1.38 = 138 입니다.
벌써 3)의 계산값과 차이가 나네요.
5) 16FF - 20SOC
기존 자료에서 둘의 차이는 20% 입니다.
화웨이 자료 기준으로 20SOC가 106이면 16FF는 106 x 1.2 = 127 입니다.
값들이 천차만별입니다.
2) 16FF+ - 20SOC
화웨이 자료대로하면 둘 사이의 speed gain은 +40%가 아닌 +61% 입니다.
6) 20SOC - 28LP
이건 교차검증할 추가 자료도 없어서 기존 값을 그대로 씁니다.
16FF+ 170, 28HPM 100, 20SOC 106을 고정해놓고 16FF의 speed gain값을 구해보겠습니다.
16FF+ 기준으로 148, 20SOC 기준 127, 28HPM 기준 138 이 나옵니다.
16FF - 20SOC 차이값을 기존의 +20%가 아닌, 16FF+ - 20SOC 차이였던 +40%로 적용하면 20SOC 기준으로 16FF값이 148이 나오면서 화웨이 자료와 일치됩니다.
화웨이 자료를 중시한다면 이 쪽이 맞는 수치인듯한데, (공식적인 얘기인지 모르겠지만) 16FF+를 16FF로 리네이밍한다는 식의 얘기가 있었는데 이런 식으로 맞는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정리해보면,
speed gain
28LPP : 82
28HPM : 100
20SOC : 106
16FF : 148
16FF+ : 170
TSMC power gain 자료는 신뢰도가 너무 떨어지는 값들이어서 안 썼습니다.
2. 삼성/GF
삼성의 수치는 화웨이 자료에 나온 14LPP가 기준이 됩니다.
기존 자료.
GF 자료.
1) GF
GF 공정과 삼성 공정의 접점을 찾아야되는데
28SLP = 28LPP, 14XM = 14LPE. 20LPM = 20LPE 로 볼 수 있을듯 합니다.
28SLP = 28LPP : 성능상 가장 하위 공정인데 28LPP는 HKMG 공정이고, GF 공정 가장 낮은 HKMG 공정이 28SLP
14XM = 14LPE : GF에서 14LPP를 따로 표기한걸로 보아 14LPE가 맞는듯.
20LPM = 20LPE : 공정 사양상 이 둘은 다른데 일단 이 경우도 보겠습니다.
2) 14LPE
14LPP와 15% 차이라는 삼성의 공개값을 적용하면,
159 / 1.15 = 138
GF 기준으로 보면 28SLP - 14XM +61%인데 아래에서 계산한 28LPP 값에 대입하면
85 x 1.61 = 137 로 계산 값이 일치합니다.
28SLP = 28LPP, 14XM = 14LPE라는 가정, GF 자료를 쓰는게 크게 틀리지 않았다는 증거일지도.
3) 20LPE
기존 자료가 14LPE speed gain은 20SOC 대비 +20%입니다.
이를 적용하면 20SOC speed gain은 138 / 1.2 = 115
4) 28LPP
14LPE가 28LPP 대비 +40%
28LPP는 138 / 1.4 = 99 (좀 높네요.)
GF 기준으로 보면 28SLP - 20LPM 이 35% 차이입니다.
20LPM = 20LPE로 보면 115 / 1.35 = 85 (이 값이 더 맞을듯 합니다.)
speed gain을 정리해보면,
28LPP : 85
20LPE : 115
14LPE : 138
14LPP : 159
power gain까지 포함하면 이렇습니다.
- 결론
TSMC, 삼성 공정을 종합하면 이렇습니다. (물론 추정치)
'스마트폰 > 삼성 SAM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시노스7870 GPU 사양 추정. (갤럭시 J7 2016) (39) | 2016.02.13 |
---|---|
엑시노스 8890 긱벤치3 결과 분석. (2016.01.23) (SM-G930W8) (34) | 2016.01.24 |
삼성, TSMC 공정 비교. (2016.01.18) (36) | 2016.01.19 |
삼성 엑시노스8890 정보 공개. (Exynos8890, Mongoose, T880) (48) | 2015.12.08 |
엑시노스8890 초기 벤치 분석 / 몽구스(Mongoose) 찌라시 분석. (39) | 2015.09.22 |
삼성 아몰레드 전력 효율. (Samsung Amoled power efficiency) (source : Anandtech) (29) | 2015.07.2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예상보다
TSMC 16nm가 굉장히 잘나온듯하네요
좀더 경쟁을 위해선 삼성쪽에서도
14nmLPP 후속이 필요해보이는군요
안그래도 TSMC의 경우 16nmFFC인가?
나온다고했으니~
16FFC는 저전력 버전이라고 하는데 성능이나 전력이 어떨지 발표를 기다려봐야겠지요.
TSMC랑 성능 차이봐서는 삼성도 성능 더 올라갈 여지가 있어보이고요.
TSMC 공정 라인업 보면 CLN16FF나 FF+ 안에도 GL, LL로 나눠져 있던데 이게 각각 HP, LP에 해당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HP, LP로 딱 나누기는 힘들거같고, 16FF+ 내에서 상대적으로 저전력이 LL, 상대적으로 고성능이 GL 입니다.
China Qualcomm officials said, 14nm LPP energy efficiency than 16nm FF + Strong 6%.
energy efficiency라고 쓴거봐서는 power gain 얘기인듯?
미디어텍이 20nm/16nm 샘플 몇 개 뽑아보고.. 별 차이 없어서 20nm로 갔다는 말은 그냥 찌라시였군요(역시 단가 문제가)...
언젠가 뉴클런2가 나와서 저 도표끝에.. INTEL ! 이렇게 나온 최종본을 볼 수 있을지... 말이죠..;;
p.s 혹 이전 32/45/65nm 시절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인지 대충 알 수 있을까요?
단가, 물량이 문제였겠지요.
32/40/45nm는 자료가 많지 않아서 쉽지 않더군요.
삼성/GF는 그나마 GF 덕에 공개된게 제법 있는데 TSMC는 적어서 교차검증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
좀 더 찾아보고 내용이 그래도 신뢰할만한 수준까지 올라오면 써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4968211
긱벤치에 엑시노스8890 탑재된 캐나다판 갤럭시S7 점수가 노출되었군요
정수랑 부동소수점 점수보니깐
2.1GHz 빅 쿼드 + 1.6GHz 리틀 쿼드
정도로 보이는군요.
제품판 클럭은 제가 알기론 빅코어
2.3~2.4GHz정도로 알고있는지라
점수는 더 오를것으로 예상되네요
싱글성능 보니 오히려 빅코어가 1.6ghz여야지 계산이 들어맞더라고요
아니면 절전모드로 테스트됬을수도 있죠
저는 왜 자꾸 이게 스냅820 결과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까요.
좀 더 점수를 뜯어봐야할거 같습니다.
시스템 정보를 어디까지 수정할 수 있을지가 관건인데 motherboard는 그런 사례가 있다해도 processor id는 본적이 없어서 그 부분이 걸립니다.
일단 part 넘버가 1에
리비전 r1p1
옥타코어이니
당장은 엑시노스8890으로 봐야할거같아서요
이건 뭐 코어수만 다르지 스냅이랑 도찐개찐으로 가고 있으니.
일단 점수에 대한 감상은
정수는 엑시노스7420과 동급에
부동소수점연산이 7420보다 잘내오고
나머지 총점을 메모리 점수로 충당된
결과로 보이네요 ㄷㄷㄷㄷㄷ
뭐 사실상 GPU 성능도 비슷할테고 CPU 성능도 Kryo 4코어(전부 빅코어)에 A53 4개 더 박은거랑 차이가 없으니...
저같은 경우 세이빙모드에서
돌린 벤치에 무게를 두고있습니다.
예전 긱벤치 찌라시에 나온 세이빙모드랑
어느정도 매칭이되구요...
제품판은 대충
2.3~2.4GHz ARMv8 Exynos-M1 r1p1 쿼드코어 L2캐시 2MB
1.6GHz ARMv8 Cortex-A53 r0p4 쿼드코어 L2캐시 512KB
정도일것으로 추측
나름대로 분석 중인데 정수 특성은 그래도 몽구스랑 비슷하네요.
부동소수점은 A72와 비슷하고요.
둘 다 완전히 같지는 않네요.
kryo와는 차이가 커서 연관성은 없어보입니다.
일단 현재까지 분석으로는 이 정도로 보입니다.
1) 몽구스가 리비전되면서 FP성능을 추가로 대폭올렸고, 기존 결과를 그동안 1.4GHz 결과로 생각했지만 이보다 고클럭 결과일 가능성.
2) A72 기반 제품 결과이고 시스템 정보가 페이크
1번 가정대로면 2.3ghz 기준으로 싱글코어, 멀티코어 퍼포먼스가 어느정도일지 궁금하네요. 계산이 너무 복잡해요
결과 하나로 이러는거보다 사실 추가 결과 기다리는게 가장 확실하긴 합니다.
물론 "잘나왔다" 라는건 다분히 소비자 측면의 관점이고, 사실 고객사 요구에 턱걸이만 하는 수준이면 칩을 작게 만드는 파운드리가 더 이익이지요..
소비자가 파운드리 입장 생각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소비자는 제품판 잘나오면그만이죠~ㅋㅋㅋ
비밀댓글입니다
신규 공정 그렇게 막 늘리지는 못할겁니다.
이것저것 많습니다. 정리가 안 될 정도로......
In fact Antutu has Exynos 8890 (SM-G930F) results, probably 100,000 points, because this result is not normal, so Antutu not disclosed. Specifically, CPU and 3D is not high, which is not normal.
Exclusive news! From Samsung engineer told me that they own geekbench test, single-core integer performance is very high, to be sure SM-G930W8 test scores is problematic.
역시 추가 결과를 확인해봐야할듯.
Here can not send pictures and more details, I hope we can communicate more ideas through the mail, this is my mailbox: sin008@126.com , I hope you can send me a message.
공지에 이메일 있음.
http://gamma0burst.tistory.com/notice/598
gammawise@gmail.com
hope that gamma0burst,흡혈귀왕 and A TNTI , we set up a discussion group to discuss the details, I am Weibo news person: i冰宇宙
그렇다면 엔비디아 혹은 애플에서 주력으로 사용하게 될 tsmc의 공정은 16FFGL+ 인가요, 아니면 16FFLL+인가요?
아마 같은 칩내에서도 혼용해서 쓸걸요.
감사합니다!
http://www.anandtech.com/show/10075/early-exynos-8890-impressions 몽구스 덕분에 파워게인 값 또 수정해야 할듯요... 2.6Ghz랍니다
아키텍처 영향이 더 클거 같은데 혹시나 차기 공정에서 같은 아키텍처쓴다면 비교는 가능하겠네요.
지금으로는 같은 아키텍처 쓰는 제품이나 공정이 없으니 비교하기 힘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