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냅드래곤805 탑재 태블릿 MDP의 벤치마크 결과가 올라왔습니다.
이 결과들을 분석해보겠습니다.
(링크1 : http://www.anandtech.com/show/8035/qualcomm-snapdragon-805-performance-preview)
(링크2 : http://hexus.net/tech/features/cpu/70061-qualcomm-snapdragon-805-soc-examined-benched/?page=2)
스냅드래곤805 MDP/T (Tablet)
디스플래이 : 10.6", 2560 x 1440
RAM : 3GB LPDDR3
해상도가 WQHD이기때문에 온스크린 벤치마크 결과로 향후 나올 WQHD 기기에서 실성능이 어떨지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얘기는 GPU에서 자세히 하도록 하지요.
소개 슬라이드인데 대단한 내용은 없습니다.
모바일 쿼드코어 중 최초로 2.7GHz (쓰로틀링은 어쩔거야?)
Krait450 아키텍처.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2x 64비트 로 기존의 AP의 두 배입니다. (기존 2x 32비트)
덕분에 메모리 대역폭은 최대 25.6GB/s
다이렉트X 11.2를 비롯한 각종 최신 API 지원.
텍스처 성능 향상. (파이프당 텍스처 성능 2배 이상.)
GPU 전력 -20%, 성능 +40%
아마 동일 성능에서 비교겠지요?
- CPU : Krait450 x4 2.7GHz - 쓰로틀링 어쩔거냐?
CPU부터 보겠습니다.
긱벤치3 결과로 비교.
스냅드래곤 805 결과는 아난드텍 자료, 그외 비교군은
스냅드래곤 800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226715
스냅드래곤 801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572042
엑시노스 5422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509499
스코어 비교.
CPU클럭이 20%나 올랐음에도 스냅드래곤 800의 성능과 대동소이합니다.
빅리틀 HMP 효과를 보는 엑시노스 5422에 확실히 밀립니다.
비율로 비교해보면 좀 더 명확히 보입니다.
스냅드래곤끼리는 거의 오차범위 수준의 차이만 보입니다. 그냥 같다는거지요.
정수 멀티코어 점수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스냅드래곤 801과 엑시노스 5422를 비교하면 엑시노스 5422가 9% 정도 높습니다.
클럭이 올라가는데도 성능 향상이 지지부진한 원인은 쓰로틀링일 가능성이 높을듯 합니다.
스냅드래곤801, 805, 엑시노스5422의 경우 아직 최고 성능이 나타나지 않은 상황으로 볼 수 있어서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하지만 공정은 그대로면서 클럭만 높이고 있는 스냅드래곤의 현 상황을 생각하면 현재보다 훨씬 높은 결과가 새로 나올 것 같은 생각은 안 듭니다.
쓰로틀링은 피할 수 없어보입니다.
스냅드래곤끼리 동클럭 점수를 비교한겁니다.
클럭은 올라가는데 성능은 그대로이니 고클럭 제품으로 갈수록 클럭당성능은 떨어집니다.
- GPU : Adreno 420 600MHz - 사양이 뭐냐?
일단 벤치마크 결과부터 보겠습니다.
주황색 그래프는 제가 예전에 추정한 Adreno420 성능.
(링크 : 퀄컴 스냅드래곤805 Adreno420 분석.)
티렉스 결과는
스냅드래곤800 대비 +53%
스냅드래곤801 대비 +48%
맨해튼 결과는
스냅드래곤800 대비 +57%
스냅드래곤801 대비 +33%
다른 결과를 보면 스냅드래곤801 대비,
텍셀필레이트 : +100% (2배)
3DMark : +4%
기존에 알려진 Adreno 420 얘기와 이번 결과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Adreno 330 대비 텍스처 성능 2배
이건 일단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Adreno 330 이 8TMU로 보이는데 이의 두 배가 나오려면 클럭 상승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16TMU로 늘었거나, 유닛당성능이 2 Tex/cycle 로 늘어났다고 봐야합니다.
16 Tex/cycle에서 8553 MTex/s 가 나오려면 클럭은 최소 535MHz 입니다.
GPU 클럭은 600MHz가 맞는듯 합니다.
ROP의 경우 예전 유출 정보를 보면 동클럭에서 Adreno 330과 같습니다.
(링크 : 퀄컴 스냅드래곤805 Adreno420 분석.)
텍스처 유닛 사양만 증가하고, ROP 사양은 그대로인 것으로 보입니다.
- 스냅드래곤800 Adreno 330 대비 그래픽 성능, 연산 성능 최대 +40%
(링크 : http://www.qualcomm.com/media/documents/files/snapdragon-805-product-brief.pdf)
스냅드래곤800 대비, 그래픽 결과들은 +40%를 초과달성한 상태라 문제는 연산성능이 +40% 인가하는 점.
연산성능 +40%를 근거로 192ALU로 추정했었습니다.
(링크 : 퀄컴 스냅드래곤805 Adreno420 분석.)
그런데 3DMark의 결과가 그렇지 않습니다.
3DMark 그래픽 테스트는 전통적으로 SP 중시적인 성향이 강해서 점수가 거의 (SP수 x 클럭) 에 비례해서 나옵니다. (SP수 x 클럭 은 사실상 연산성능과 같은 지표입니다.)
Adreno420의 3DMark 결과를 보면 Adreno330 대비 +4%(3.88%)에 불과합니다.
이 둘의 클럭차이는 3.81% (578 -> 600)로 점수 상승비율과 완전히 같습니다.
즉, ALU 숫자는 변하지 않았다는겁니다.
그렇다면 대체 연산성능 +40%는 뭘까요.
문맥상 해석을 잘못한건지, 퀄컴이 실수를 한건지, 거짓말을 한건지......
- WQHD에서 Adreno420의 성능
WQHD(2560 x 1440) 기기 루머가 나올때마다 나오는 우려(혹은 까기, 혹은 무용론)가 있으니,
FHD 기기보다 실성능이 떨어질거라는겁니다.
진짜 그런가 봅시다.
테스트에 사용된 스냅드래곤 805 MDP의 해상도는 WQHD이기때문에 온스크린 성능을 비교해보면 실성능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맨해튼.
FHD 기기하고 같은 결과입니다.
Adreno330이 FHD에서 문제가 없으면 Adreno420은 WQHD에서 문제없는겁니다.
티렉스.
Adreno330-FHD 보다 Adreno420-WQHD 성능이 더 좋네요.
- Memory : 128bit도 PoP이 됩니다.
메모리 점수는 +19%
메모리 대역폭이 2배되면 메모리 점수는 +30% 입니다. 2
산술적으로 +19%라면 실제 메모리 대역폭은 +83%
실제 최대 지원 대역폭을 보면 +72% 입니다.
스냅801 : 64bit 933MHz (14.9GB/s) -> 스냅805 : 128bit 800MHz (25.6GB/s)
933MHz는 조금 벅찬 클럭이라 실제로는 저것보다 낮을듯 한데...
벤치마크 결과로 계산하면 14.0GB/s (874MHz)
실제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위 테스트 결과는 MDP가 아니라 갤럭시S5 광대역 LTE-A 결과인데, 이 제품의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128bit인건 증명이 된겁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이게 들어갔다는건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도 PoP이 가능하다는 것.
- 요약
1. CPU
Krait450 x4 2.7GHz
클럭은 상승하였으나 성능은 스냅드래곤800, 801과 대동소이.
원인은 쓰로틀링으로 추정.
2. GPU
Adreno 420 600MHz
128 ALU
8 ROP
16 Tex/cycle (혹은 16 TMU)
4.8 GPix/s
9.6 GTex/s
기존 제품 대비 그래픽 성능 +40% 이상.
WQHD 환경에서 Adreno420 성능은 문제없음.
Adreno330-FHD =< Adreno420-WQHD
3. Memory
128bit 800MHz - 25.6GB/s
PoP
- 2014.06.28 메모리 항목 추가.
'스마트폰 > 퀄컴 Qualco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퀄컴 Adreno430 초기 벤치마크 분석. (Qualcomm Adreno430) (34) | 2015.01.25 |
---|---|
Krait400 vs Krait450 (@Geekbench3) (2) | 2014.06.28 |
스냅드래곤805 벤치마크 분석. (Snapdragon805, Adreno420) (45) | 2014.05.23 |
퀄컴 스냅드래곤 유출 로드맵 분석.(스냅드래곤810, MSM8994) (11) | 2014.01.23 |
퀄컴 스냅드래곤805 Adreno420 분석. (31) | 2013.12.12 |
퀄컴 스냅드래곤800 Adreno330 분석. (18) | 2013.06.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20nm공정으로 안하나 보군요... 2.7GHz를 버틸수 있나? ㅋㅋ 갤포아도 쓰로틀링 꽤 먹는데... 그래도 그래픽성능이 엄청 좋아졌네요
805는 그냥 그래픽성능보고 가야할듯.
포스팅 기다리고있었습니다~
확실히 뭔가 구체적으로 정리된 느낌이네요~
그리고 간만에 보는 GPU비교 그래프!
700MHz Mali-T628MP6 결과는 어떨까요?
티렉스나 맨하탄에서
그나저나 퀄콤 애네들도 전작대비 몇% 향상됬다는
굉장히 잘 지켜주고있네요
아드레노430은 아드레노330대비 80%이상 성능 향상이됬다고하니
테그라K1에 버금가는 그래픽성능도 기대해봐도될듯하네요....
이론 텍셀과 픽셀은 아드레노420이 테그라K1 대비 높지만
아키텍쳐 차이효율때문인지 하이레벨 벤치는
아드레노420보다 테그라K1이 높게나오네요
맨하탄은 12.3~14.9 fps 정도 나올듯?
아드레노430가 330 대비 +80% 인가요?
전적도 있으니 대충 맞게 나오겠지요.
테그라k1보다 낮은거봐서는 결국 중요한건 연산유닛 숫자인듯 하네요.
근데 ALU 숫자나 클럭이 비슷한데도 순전히 텍스처 성능차이로 하이레벨 결과가 차이가 나버렸으니 (330-420), ALU 숫자, 클럭이랑 프레임이랑 비례관계일거라는 가설은 깨져버렸습니다.ㅜㅜㅋ
그래도 전에 추측하셨던 벤치결과하고는
비슷하게 나왔네요~
내년 아드레노430은 더 향상될테니 정말 기대되네요
일단 맛폰이 최종적으로 4K해상도까지는 갈듯하니
성능 향상은 불가피 할테니깐요~
맨하탄이 최대 14.9fps 정도면
티렉스는 한 37~38fps 정도 나올려나요?
33~34 정도될듯.
근데 아직 정확한게 없어서 뭐라 말하기 애매해요.
CPU는 아직까지도 엑시노스를 넘질 못하네요;;; GPU는 그야 괴물이고요 ㄷㄷ;;;
이번에 LG G3가 스냅드래곤801에 QHD를 끼워놓은채 출시한다는데 버틸려나요?
산술적으로는 문제가 없어보이네요.
뭐 별 문제 없으니까 그렇게 스펙을 맞췄겠지요.
스냅드래곤800부터 QHD대응이 됬었던가요?
그리고 4K대응은 영상촬영이었나 영상구동으로 기억하는데 맞나요?
스냅800으로 WQXGA 태블릿도 감당이 됐으니 QHD도 되겠지요.
4K는 디코딩이었을겁니다.
20nm 공정의 A8칩의 성능이 궁금해지는 군요. 분위기를 보니 엑시노스 5430과 스냅805 과의 경합이 될 듯
805가 경쟁할 상대는 5430만이 아닐겁니다.
A8은 어떻게 나올지 기대 중.
이 셋 말고 또 무슨 칩을 말씀하시는 거죠?
잘 하면 무슨 칩을 볼 수 있을겁니다.ㅎ
음... 이번 년도에 삼성, 애플, 퀼컴에 대응할 만한 칩을 내놓을 회사는 인텔 정도밖에 떠오르지가 않네요. 미디어텍이 이번에 준비한 칩은 스냅800 정도로 예상된다고 하니까요.
소개 슬라이드 하단 단락 25.6Ghz -> 25.6GB/s
Krait...로 일단은 힘겹게 버티네요. 진짜 쓰로틀링 어쩔 건지...뭔가 펜티엄4 생각도 나고...(물론 그 정도의 처참함은 아닙니다만)
p.s. 제 갤포가 빅리틀로 어떻게 뭐가 더 되는건 반쯤 포기했습니다. 약정 끝나고 바꾸게 될 갤6이나 잘 뽑아져 나오길 어떻게 좀...
커널 빌드하면서 본건데 스위칭 자체는 바꿀 수 있게끔 config 쪽에 되어 있긴 하더라고요. 문제점은 되냐 마냐인데, 그냥 드라이버만 추가시킨것 같기도 해서 안해봤어요
갤포 엑시5410은 커널봐서는 IKS는 어떻게 될 것 같더군요.
HMP도 그렇지만 실제 적용해줄지말지가 문제.
HW 문제는 일찌감치 결판났지만...문제는 무선사업부...저번 달인가 삼전이 5410 5420 추가적 솔루션 지원에 아예 관심이 없다는 찌라시를 봐서 말이죠(정상 작동하는데).
정상동작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폰에서는
클럭좀 깍고 스로틀링걸고하면
좋게 나와야 아드레노330의 20%업수준일거 같네요
전례를 봐서는 클럭을 깎을 필요까진 없어보이는데 그래봤자 실성능이 엄청 잘 나올 것 같지는 않은게 사실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그렇게 엄청 긍정적으로 흘러가지만은 않을지도 모르지요.
안심?방심?할 수 없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허......
그거......희망사항대로 안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한국판 더 신경썼다는게 AP 얘기는 아닌듯 합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이 정도만 말하겠습니다.
왜 모델이, 라인업이 그것만 있을거라 생각하십니까.ㅋ
비밀댓글입니다
801 fhd 기기들보다 805wqhd기기들이 더 쾌적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쓰로틀링만 심하지 않다면 낮게 잡아도 최소한 동급으로 봅니다.
이번에 스냅805달았다는 삼성기기 찌라시 벤치보니까 쓰로틀링이 GFX3번만에 10프레임 이상 떨어지던데...그렇다면 좀 그렇지 않을까요? 보니까 대충 쓰로틀링 걸리면 스냅600수준이라 사용자들이 체감할때 전버전하고 크게 차이를 못느낄지도 모르겠습니다.
쓸만하다는게 3D 퍼포먼스를 기준으로 말하는건 아니니까요.
실제로는 2D화면 잘 나오냐 뭐 그 정도지요.
별 문제없을듯.
감마님~ 언제나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원래 스냅805가 올해 tsmc 20nm파운드리 생산인데 tsmc쪽에서 올해 20nm는 좀 힘들다고 하더군요... 스냅805가 28nm에서 생산가능하며 실사용이 가능한가요???
갤럭시s5프라임에 들어가는 스냅805는 공정이 얼마일까요??? 삼성은 이미 20nm포기하고 16nm로 바로 넘어간걸로 아는데요 ㅎㅎ
지금 히스토리를 확실히는 모르겠는데 일단 스냅805는 28nm 확정입니다.
발표 때부터 28nm라고 했습니다.
삼성은 20nm 생산하고, 다음은 14nm입니다.
20nm 포기 아닙니다.
TSMC가 20nm 힘들다는건 아마 애플에 물량 몰빵해줘서 다른 업체가 20nm 로드맵 쫙 밀린걸 갖고 그렇게 말하는걸거니다.
좀 늦긴한데 올해 20nm가 힘든건 아닐겁니다.
adreno330에 WQHD를 달으면 어떻게 되나요?
그럭저럭 돌아갈겁니다.
스냅800/801에 WQXGA 해상도 태블릿이 몇개 있지요.
WQHD와 스냅드래곤 801의 조합은 그냥 완전히 망작이던데.
(G3도 좀 관심 있었는데 3DMARK 성능이 2년전 옵티머스 G수준으로 나오는거 보고 관심 팍사라진... .. )
스냅드래곤 805는 괜찮다는게 이글에 결론인건가요?
흠 근데 발열하고 증발하는 배터리가 문제죠. 플웨즈 리뷰 보니 G3배터리는 그냥 2년전 수준이고 발열은 역대 최대치 갱신한데다가 어딜잡아도 발열을 피할수 없다니 어쩌니 _-;;
아몰WQHD는 좀 날까요? 아니면 더 심할까요?
아몰이면 아무래도 LCD보다는 낫겠지요.
링크의 플웨즈 벤치에서도 얘기했듯이 발열의 원인이 액정이지 AP는 아니니까요.
WQHD+스냅801(or 800) 조합이 순수 성능에서 별 문제없다는건 이미 삼성 태블릿에서 검증된 내용입니다.
물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발열, 소비전력 한계가 다르기때문에 스마트폰에서 최종적으로 만족스러운 성능이 나오지 않을 수 있겠지만, G3와 갤탭/갤노트 사례를 봤을 때는 그게 AP때문이라고 보기는 힘들듯 합니다.
Adreno320 에 FHD나 또는 WQHD를 달면 어떤가요??
그럭저럭 무난한 수준인가요??아니면 조금 버겁나요??
FHD 제품은 이미 나왔으니 문제없는 수준이라는 얘기고요...
Adreno320은 최대 2048 x 1536 까지 지원해서 WQHD는 지원범위가 아닙니다.
2048 1536인데 스냅800달고 나온 노트 10.1 2014는 어떻게 된거죠?
뭐가 어떻게 됐다는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