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PU/인텔 INTEL

인텔 CPU 유출, 루머 정리. (2025.04.01. Meteor/Arrow/Panther/Nova Lake)

by gamma0burst 2025. 4. 1.
반응형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정리

 

 

- 애로우레이크 리프레시 (Arrow Lake Refresh)

(https://x.com/jaykihn0/status/1808621251965169774)

(https://x.com/jaykihn0/status/1904528568111034596)

취소되었고 나와봐야 HX, H처럼 모바일 라인만 나올 것으로 알려져있었는데 새롭게 계획되고 있다는 내용임.

기존 애로우레이크 리프레시 S(데스크탑) 내용에 댓글로 추가한걸보면 데스크탑 라인도 나올 가능성이 있는듯.

기존 ARL-S 리프레시 루머는 새로운 NPU가 들어가면서 SOC타일이 좀 더 커진다는 내용이었음.

 

 

- 팬서레이크(Panther Lake) 구분자(Identifier) ?

(https://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os/third_party/coreboot/+/2dcf7cded7c80c6b71d4c50884d6dad9f996202e)

Family 6 Model 204 Stepping 0 로 잡히는 프로세서가 나왔는데 이걸 팬서레이크로 추정하고 있음.

아직 긱벤치에서 확인되지는 않고 있음.

 

 

- 노바레이크(Nova Lake) 코어 구성 루머

(https://x.com/9550pro/status/1885285704412139580)

NVL-SK : 2x8+16

NVL-HX : 1x8+16

NVL-S/H : 4+8

NVL-U : 4+0

앞은 P코어, 뒤는 E코어고 LP-E 코어는 공통 4개로 알려져있음.

 

표기만 보면 최대 16+16코어처럼 보이는데 이전 루머를 보면 2x(8+16)로 해석하는게 타당해보임.

16+16코어로 해석하려면 E코어와 P코어 다이가 분리되어있고 라인에 따라 P코어 다이를 1개나 2개 넣는다고 봐야하는데 이건 구조적으로도 매우 불합리한 설계임.

지금도 LP-E코어 다이(SOC 다이)와 P,E 코어 다이가 분리되어있고 이들 사이의 레이턴시가 안 좋은 상황에서

P-E코어 간 레이턴시까지 망가뜨리는 설계를 도입할거라 보기 어려움.

E코어와 LP-E코어를 같은 다이에 넣는 식의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지만 사용/전환 빈도가 높은 P,E코어를 분리할 가능성은 거의 없음.

 

그렇다면 8+16코어 다이를 2개 넣는다는건데 다이 간 인터커넥터가 어떻게 될지 지켜볼 부분임.

 

다이 구성을 참고할 수 있는게 루나레이크, 팬서레이크임.

루나레이크는 (CPU+GPU+멤컨)+IOE 인데 CPU 다이가 2개인데 여기에 GPU가 포함되기는 어려우니 제외.

팬서레이크에서 Compute+GPU+PCD의 3다이 구조로 바뀌었는데 이건 모바일향이라 구조적으로 참고하기는 어려움.

하지만 나오는걸봐서 IO, GPU, 멤컨이 어떻게 분배될 참고할 수는 있음.

 

노바레이크가 루머처럼 컴퓨트 다이가 2개 들어간다면 라이젠처럼 2 CCD+1 IOD로 구성하고 CPU 외의 기능은 하나의 다이에 몰아넣는게 가장 합리적임.

Zen1처럼 메모리 컨트롤러를 CPU 다이에 넣으면 멀티다이가 됐을 때 다이 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해지는데

이런 방식은 복잡하고 성능 향상과 코어 확장에 병목이 돼서 Zen2에서 IOD 다이를 추가하고 멤컨을 IOD 옮겨버렸음.

인텔이 이런 기존 사례를 무시하고 어려움을 반복할 가능성은 낮음.

 

멤컨을 위한 다이는 무조건 있어야하는건데 이전 정보를 보면 노바레이크 멤컨 기능은 인텔18A(i18A) 공정이었음.

(인텔 차기 CPU 루머, 유출 정리. (2024.01.23.))

(인텔 CPU 루머, 유출 정리. (2024.10.01. Arrow/Panther/Nova Lake))

최소한 SOC 다이가 인텔 공정이고 여기에 IOE, GPU가 합쳐질 가능성이 있는건데 현재까지 나온 정보를 보면 팬서레이크까지 IOE, GPU 모두 인텔 공정으로 제조된적이 없음.

 

다른 문제로 CPU 전력이 있음.

현재 8코어로도 고전력 문제를 해결 못 하고 있는데 16코어 전력을 감당할 수 있을지, i18A 공정과 신규 아키텍처로 이걸 해결할 수 있을지 현재로는 의문임.

팬서레이크를 통해 i18A 성능을 참고하는 수 밖에 없음.

 

 

- 메테오레이크 S (Meteor Lake S, MTL-S)

(https://www.ithome.com/0/840/178.htm)

메테오레이크의 데스크탑 제품 (MTL-S) 엔지니어링 샘플(ES)이 노출됨.

히트스프레더 형상이 다른 LGA1851 제품과 차이가 있음.

 

LGA1851 소켓으로 실제 구동이 가능했고 사양을 보면 6+8코어라서 울트라5 라인으로 보이고

캐시, 클럭 등을 보면 비슷한 사양의 메테오레이크-H/PS(MTL-H/PS)와 유사함.

SMT가 없는데 이건 ES라서 그런 것으로 추측됨.

(과거에도 ES에서 하이퍼스레딩이 비활성화하는 경우가 많았음.)

 

사실 메테오레이크 PS(MTL-PS) 제품이 LGA1851로 나와있는데 사용 메인보드만 확인되고 실물 CPU 사진은 인터넷 상에서 확인이 안 되고 있음.

이번 ES 클럭은 베이스 2.8GHz / 최대 4.5GHz 인데 MTL-PS 제품은 베이스 클럭이 2GHz 미만이어서 이번 ES는 MTL-S에 가까운 제품인 것으로 보임.

 

이전에 물류정보에서 MTL-S가 나왔었는데 8+16코어, GT1 / 6+8코어, GT1 두 가지 사양이 나왔음.

8+16코어가 있던걸보면 울크라9/7도 고려했었던듯.

기존 루머에서 코어200 데스크탑 라인은 울트라9/7(당시 i9/i7)은 애로우레이크, 울트라5/3(당시 i5/i3)는 메테오레이크 사양이라고 했는데 이번에 나온 제품이 울트라5인걸보면 루머가 아주 근거가 없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임.

 

37.5mm x 45mm는 LGA1851 소켓 사이즈고 LGA1956은 사실 LGA1851과 같은 것임.

1851은 내부 접점의 개수고 거기에 좌우의 원형 접점의 개수를 합치면 1956임.

 

GPU의 Device ID는 8086 7D60d인데 이전에 커널에서 확인된 것임.

(https://lore.kernel.org/r/intel-gfx/DM4PR11MB621304F445E3804ACE1BD5B9EC879@DM4PR11MB6213.namprd11.prod.outlook.com/T/)

 

(https://dgpu-docs.intel.com/devices/hardware-table.html#gpus-with-supported-drivers)

커널 내용, 인텔 공식 문서에 나온 내용, 실제 출시된 제품의 ID/사양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음.

 

7D60 - MTL-M - MTL-S? - 64 EU ? - 울트라5 ?

7D40 - MTL-M - MTL - 64/48 EU - ?

7D45 - MTL-P - MTL-U - 64/48 EU - 울트라7 165U 등

7D55 - MTL-P - MTL-H - 128/112 EU - 울트라9 185H, 울트라7 155H 등

7DD5 - MTL-P - MTL-U - 128/112 EU - 울트라5 125U 등

 

7D51 - ARL-H - ARL-H - 128/112 EU - 울트라9 285H 등

7D67 - ARL-S - ARL-S - 64/48/32 EU - 울트라9 285K 등

7D41 - ARL-U - ARL-U - 64 EU - ?

 

패턴을 보면 6x는 S, 5x는 H, 4x는 U 정도로 정리됨.

(메테오레이크부터 칩렛이 도입됐기때문에 메테오 이전, 이후 제품의 GPU ID를 직접 비교해서 패턴을 찾기는 어려움.)

7D40인 이번 ES가 MTL-S일 가능성이 높은 것.

과거에 MTL-S GPU 사양을 최대 64EU로 추측했던 이전 내용과 교차검증됨.

(인텔 차기 CPU 루머, 유출 정리. (2023.11.15. Meteor/Arrow/Lunar/Panther/Nova Lake))

 

 

- P1282 공정

P1282 공정 확인.

P1278은 i20A, i18A로 확인되었고 P1278.6이 i16A로 추측되고 P1280.2가 i14A로 확인되었음.

P1282는 현재로는 Intel 10A(i10A)로 추측되지만 P1280.x가 i10A고 P1282는 그 후속 공정일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