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신/단신

엑시노스8893 초기 긱벤치3 결과 분석. (Exynos8893, 갤럭시 노트7 ?)

by gamma0burst 2016. 7. 9.
반응형

- 엑시노스8893 긱벤치3 초기 결과 분석입니다.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7255312)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7255309)

말 그대로 초기 결과라서 실제 최종 성능, 사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모델명은 보면 (가칭) 갤럭시 노트7이지만 클럭이나 메모리 용량 등을 봤을 때 초기 모델 사양이나 테스트 중인 사양같은 느낌도 있습니다. (그래도 단신 카테고리에 들어가는겁니다.)

 

 

- 시스템 정보

SM-N935F : 모델명만 보면 차기 갤럭시 노트(갤럭시 노트7?) 엣지 모델같네요.

리틀코어 1.8GHz : 엑시노스8890이 1.6GHz 였습니다. 리틀코어 클럭은 +13% 올랐습니다.

프로세스 ID는 엑시노스 8890과 같습니다. 빅코어는 몽구스 r1p1

universal8893 : 엑시노스8893

메모리 : 4GB. 최근에 올라온 안투투 시스테 정보에서도 4GB로 나왔는데 이게 단순 테스트 모델 사양인지 최종 사양인지 모르겠습니다.

 

 

- 긱벤치3 결과

동클럭 점수.

초기 결과라서 최대 성능 수준까지 안 나온 영향으로 동클럭 성능이 엑시노스8890보다 약간 떨어지는데 이 정도면 동급으로 보입니다.

 

싱글코어 점수.

싱글코어 점수는 엑시노스8890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초기 결과여서 그런 것일테고, Mandelbrot 결과를 비교해보면 엑시노스8890 대비 +4% 정도 클럭이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2.7GHz)

리틀코어가 0.2GHz, 13% 오른 것에 비하면 적습니다.

빅코어에 저 상승치가 똑같이 적용되면 싱글 클럭은 최대 2.94GHz로 계산됩니다.

참고 거리도 못 되지만 엑시노스8890 오버클럭 결과로 보이는 긱벤치3 결과가 2.9GHz 정도로 나옵니다.

부스트 클럭이라 2.7GHz 정도에 머물지, 더 올라갈지 지켜볼 부분.

 

멀티코어 점수.

클럭이 올라갔으니 멀티코어 잠수가 대폭 상승했습니다. (정수 점수는 1만점을 넘었네요.)

 

멀티/싱글코어 점수 비를 비교해보면,

엑시노스8890 - 정수 : 9126/2265 = 4.03 , 부동소수점 : 6901/1779 = 3.88

엑시노스8893 - 정수 : 10748/2289 = 4.70 , 부동소수점 : 8426/1823 = 4.62

 

멀티코어 점수에서 리틀코어 비율 무시하고 계산해보면

엑시노스8890 결과에서 빅코어, 리틀코어 클럭이 같다고 가정하고, 멀티/싱글코어 점수 비율을 계산해보면,

정수 : 9126/2265 x2.6/2.3 = 4.55 , 부동소수점 : 6901/1779 x2.6/2.3 = 4.39

이번에 올라온 엑시노스8893의 멀티/싱글코어 점수비가 정수 4.70, 부동소수점 4.62 에 반영해보면,

이번 결과의 엑시노스8893 싱글/멀티코어 클럭 비율은 정수 : 4.70/4.55 = 1.03 ,  부동소수점 : 4.62/4.39 = 1.05

 

엑시노스8893 결과에서 싱글코어 추정 클럭이 2.7GHz이니 계산해보면 멀티코어 클럭은 2.6GHz 내외로 나옵니다.

엑시노스8890 베이스 클럭이 2.3GHz였으니 +13%가 오른 값입니다.

리틀코어 클럭상승치와 같습니다.

전력 제한때문에 부스트 클럭 상승이 제한되어 2.7GHz에 머문 것일 수도 있고,

테스트 클럭이라서 최대치까지 아직 평가가 안 된 것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점수 계산 가정이 무리수이니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진짜 일리가 있는건지는 두고 볼 일.)

 

 

- 요약 : 엑시노스8893

몽구스 r1p1 x4 + Cortex-A53 1.8GHz x4

긱벤치3 초기 결과로 보면,

리틀코어 클럭 1.8GHz : 엑시노스8890 대비 +13%

빅코어 싱글코어 추정클럭 2.7GHz : 추가 상승 가능성 있음.

빅코어 멀티코어 추정클럭 2.6GHz : 엑시노스8890 대비 +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