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저번에 메일링을 통해 엑시노스5433의 64비트 지원을 위한 작업 중인듯 하다고 했는데, 이번에 추가적인 내용이 나왔습니다.
(링크 : 엑시노스5433 관련 단신. (Exynos5433))
- 간단히 말하면 Atlas(Cortex-A57), Apollo(Cortex-A53)의 클럭 도메인 관련 항목의 추가/수정입니다.
링크1 : https://patchwork.kernel.org/patch/5765561/
링크2 : https://patchwork.kernel.org/patch/5765611/
그 외에 다른 부분에 대해서도 패치.
- 이게 왜 증거인가.
추가 항목을 보면 모든 부분에 대해 ATLAS, APOLLO로 표기,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엑시노스5433 탑재 갤럭시노트4 (한국향) 커널을 보면,
유사항목이 대부분 EGL(Eagle, Cortex-A15), KFC(Kingfisher, Cortex-A7)의 이름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잘 쓰고 있던 재탕정의를 굳이 바꾸는건 뭔가 변화가 있을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 그렇다고 삼성 스마트폰/태블릿이 64비트 먹는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엑시노스7420 긱벤치 유출 결과만 봐도 이미 64비트 지원을 위한 준비는 어느정도 마무리 단계일겁니다.
아니면 벌써 끝났거나요.
그것과 이 메일링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봐야합니다.
엑시노스5433이 하드웨어적으로 64비트 지원에 문제가 없을 것 '같다.' 정도의 의미가 있을듯 합니다.
반응형
'단신 > 단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ISSCC 2015 기조 강연 정리. (17) | 2015.02.24 |
---|---|
삼성 엑시노스 7890 개발 중? (Exynos 7890) (18) | 2015.02.10 |
엑시노스5433 64bit 지원관련 단신. (15) | 2015.02.05 |
갤럭시 노트4 S-LTE에 대한 단상. (22) | 2015.01.03 |
Android 5.0 (Lollipop)과 AArch64 (64bit) 지원 관계. (12) | 2014.12.20 |
스냅드래곤810(MSM8994) 탑재 갤럭시 노트4에 관하여. (upadte 2014.12.13) (29) | 2014.12.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지금 롤리팝에서 64비트 지원 관련이 중구난방인듯하더군요...
특히 안드로이드5.0 탑재인 베이트레일이나 무어필드의 예로
어떤놈은 64비트로 나오고 어떤놈은 32비트로나오고......
64비트 지원은 AP 제조사 따라가는게 아니라 제품 제조사 따라가는거 같습니다.
놋4는 힘들겠지만, a7에서 기대해 보는건!
A7이요??
A7은 엑시노스5430 입니다.
노트4도 안 되면 그 밑은 더 기대하기가 힘들겠지요.
(감마님께선 당연히 알고 계시겠지만)
흡혈귀왕님의 이야기는, A7은 5430 이 쓰였는데.
5430은 A15+A7 옥타 구성이라, 애초에 64bit 과 관련이 없다는 이야기...
Today, e-mail Meizu insider said: Samsung is developing its own architecture CPU and GPU, and will sell to the Meizu, CPU, including eight-core and quad-core, GPU Radeon-based development, and Samsung in the development GCN2.0 architecture!
감마님 블로그 종종오는 사람인데 이글과는 그닥관련없는 질문드려도되나요?
무어의법칙과 황의 법칙의 차이점이뭐죠?...
그리고 14nm 하는데 무엇의 길이가 14nm라는거죠?
무어의 법칙 : http://ko.wikipedia.org/wiki/%EB%AC%B4%EC%96%B4%EC%9D%98_%EB%B2%95%EC%B9%99
황의 법칙 : http://ko.wikipedia.org/wiki/%ED%99%A9%EC%9D%98_%EB%B2%95%EC%B9%99
짧게(?) 요약하면.
무어의 법칙 - 매 18개월마다 반도체의 성능이 2배로 증가한다.
황의 법칙 - 매년 메모리 집적도가 2배로 늘어난다 = 메모리 용량이 2배로 증가한다.
무어의 법칙은, (CPU로 대표되는) 시스템 반도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황의 법칙은,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이야기죠.
- 무어의 법칙
작게는 18개월마다 집적회로의 규모(트랜지스터 수)가 2배씩 늘어난다는겁니다.
정의를 확대하면 집적도가 2배, 성능이 2배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중간에 24개월로 법칙을 수정했는데, 이게 애초에 18개월이라고 말한적도 없다고 하고 그렇습니다.
진짜 법칙을 잘 만들어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어찌어찌 맞아들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거꾸로 이 법칙을 지키려고 엔지니어들이 갈려나가고 있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고요. (저를 포함해서......)
- 황의 법칙
메모리, 특히 낸드플래시 용량이 1년에 2배씩 증가할거라는 주장이었는데 몇 년 전에 깨졌습니다.
낸드플래시 특성상 공정미세화 한계가 금방와서 용량 증가에 한계가 온거지요.
덕분에 이걸 현재 조건에서 극복해보겠다고 나오는게 V-NAND같은 3D구조.
News from China: Meizu's internal e-mail said that Samsung's own CPU and GPU ready, ready to sell to the Meizu usage, CPU and GPU manufacturing process is 14nm.
The CPU has four cores and eight-core version, GPU is based on AMD Radeon graphics card, and in the development of GCN2.0 architecture.
비밀댓글입니다
원가절감 아닙니다.
종류도 디테일한 부분이 다르고요.
비밀댓글입니다
그렇게까지 분류가 귀찮아지는 수준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