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엄밀히 말하면 K3V2 는 화웨이 제품이 아닌, Hisilicon의 제품이지만, 화웨이 제품에 탑재되고 있기때문에 임의 표기하였습니다.)
전에 Hisilicon의 K3V2 에 대해 다룬 적이 있는데, 새로운 내용이 나와서 다시 한 번 다루게 되었습니다.
(화웨이 K3V2 그래픽 성능. (Huawei K3V2))
http://www.expreview.com/21331-2.html
그동안 K3V2 GPU는 Immersion.16 이라는 이름의 16코어라고만 알려져있었는데,
Vivante 그래픽 코어 기반이라고 합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Huawei+U9510&testgroup=overall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Huawei+U9510+%28GC4000%29&testgroup=overall
(같은 제품인데 한 쪽은 Immersion.16, 한 쪽은 GC4000)
GLBenchmark 정보에서는 GC4000 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과 16코어라는 발표 스펙, 아래 자료들을 종합해보면, Vivante GC4000 2코어 라는게 가장 적절한 해석으로 보입니다.
- IEEE 32bit FP 연산 지원. (단정밀도)
- 자료를 보건데, 한 사이클에 ADD, MUL 모두 처리 가능한듯 합니다. (2op/cycle)
이런 스펙은 아직까지 모바일용 GPU에서는 보기 힘듭니다.
성능표대로라면
400 Mtri/s, 5 Gpix/s, 96 GFLOPS
의 성능을 갖는게 되는데, 실제 제품이 보여주는 성능은 그렇지 않습니다.
(모바일 GPU 성능 비교 v12.9)
아마도 성능표의 기준이 된 클럭에 비해 실제 제품에 적용된 클럭이 크게 낮겠지요.
그렇다면 K3V2 의
아래 자료가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이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 GC2000 과 그 파생 제품에 적용된 Scalarmorphic Unified Shader는 1코어당 9 Flops/cycle 의 연산성능을 갖는다.
(이는 저전력 타겟 통합쉐이더로써는 높은 수치입니다.)
-
- 스펙표의 성능은 600~670MHz 정도가 적용된 수치이다.
- Freescale i.MX 6D/Q 에 적용된 GC2000 의 클럭은 528MHz(쉐이더 600MHz) 이다.
GLbenchmark 에 이 Freescale i.MX 6D/Q 를 테스트한 결과가 있습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D=Freescale+SABRESD-MX6DQ&benchmark=glpro25
그리고 K3V2 가 적용된 제품의 테스트 결과도 있습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D=Huawei+U9510&benchmark=glpro25
4코어인 GC2000 528MHz 의 테스트 결과가 8.3 fps
16코어인 GC4000 2코어 의 테스트 결과가 13.9 fps (최근 결과는 최대 14.8 fps)
스펙은 4배인데, 성능은 1.78배입니다.
계산해보면 클럭은 약 236MHz 가 나옵니다.
250~266MHz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64MHz 에서의 GC4000 2코어 성능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76 Mtri/s, 2.112 Gpix/s, 38 GFLOPS
-
GLBenchmark 2.5.1 로 패치되면서 결과가 크게 달라졌습니다.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D=Huawei+U9508&benchmark=glpro25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D=Freescale+SABRESD-MX6DQ&benchmark=glpro25
4코어인 GC2000 528MHz 의 테스트 결과가 15.1 fps
16코어인 GC4000 2코어 의 테스트 결과가 14.8 fps
스펙은 4배, 성능은 0.98배.
클럭은 130MHz 가 나옵니다.
130MHz 에서의 GC4000 2코어 성능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86.7 Mtri/s, 1.04 Gpix/s, 18.7 GFLOPS
(성능이야 그렇다쳐도 클럭이 너무 낮은듯.)
Freescale i.MX 6D/Q 결과 2.5.1 이전에는 8.3 이었는데, 2.5.1 에서 두 배 가까이 상승한건 확실히 의심스럽습니다. 테스트 결과도 하나뿐이고요.
(오버클럭 된 결과일지도.)
이 부분은 아직 그렇게 신용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
-
의문점은 또 있습니다.
같은 제품인데 어째서 결과가 이렇게 다른 것인가...
위의 것도 그렇고, 결과가 이상할만큼 높은건 모두 다 특정인물이 업로드한 결과인데,
그렇기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신뢰할게 아니라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할듯 합니다.
-
- 2012.12.04 Innersion.19 = GC4000 2코어 를 기준으로 한 전면적인 재수정.
반응형
'스마트폰 > 기타업체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크 LTE (KM-E100) 간단 사용기. (10) | 2012.12.27 |
---|---|
TSMC 28nm 공정 소개. (4) | 2012.12.18 |
소니 PS 비타 프로세서에 Wide I/O 메모리 사용. (4) | 2012.07.24 |
팬택의 차기 플래그쉽 스마트폰?? IM-A850 (10) | 2012.07.12 |
LG LS970 (=E970?) 시스템 정보. (0) | 2012.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