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PU/인텔 INTEL9

인텔 차기 CPU 루머, 유출 정리. (2023.11.15. Meteor/Arrow/Lunar/Panther/Nova Lake)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최근 발표된 메테오 레이크를 포함한 후속 CPU에 대한 유출 내용, 루머 중 유출 내용과 어느 정도 교차검증되는 부분을 정리했음. - 공통 인텔 발표 자료. 로드맵에서 애로우 레이크 - 루나 레이크 - 팬서 레이크 의 순서가 확인됨. 발표된대로 메테오 레이크 CPU는 Intel 4 공정이고, 애로우 레이크는 Intel 20A 공정이라고 밝혔는데 CPU 공정으로 추정됨. 좌상단은 메테오 레이크 모바일로 루나 레이크와 같은 패키지이고, 애로우 레이크와 루나 레이크가 같은 2024년에 묶여있음. 애로우 레이크가 데스크탑 라인, 루나 레이크가 모바일 라인이고 같은 세대일 가능성도 있을듯. CPU 공정 인텔 6nm/TSMC 3nm 인텔 6nm 공정은 취소된건지 리네이밍된건지 .. 2023. 11. 15.
인텔 공정 표기 정리. (P1276, P1278) - 인텔 공정 표기 정리 그동안 링크드인 내용을 보면 같은 제품에 대한 인텔 공정 표기가 일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있는 내용이겠지만 이번 기회에 한 번 정리를 하겠음. - 공정관련 인텔 발표, 유출 내용 P1274 =10nm, P1276 7nm 1의 자리가 짝수면 CPU(Compute), 홀수면 SoC, I/O 공정으로 알려져있음. 여기서는 CPU 공정만 다루겠음. 유출된 인텔 CPU 로드맵인데 여기에 많은 내용이 있음. 10+++ : Intel 7 P1276.31 : Intel 4 P1276.4/5 : Intel 3 P1278.2 : Intel 20A P1278.3 : Intel 18A P1278.6 P1280.2 위 공식자료와 합쳐보면 P1276은 인텔 내부에서는 7nm.. 2023. 11. 14.
인텔, 펜티엄, 코어2듀오/쿼드 등 45nm제품 단종계획. http://www.tcmagazine.com/tcm/news/hardware/35392/intel-plans-retirement-multiple-pentium-core-2-duoquad-processors 펜티엄 : E5400, E6500 코어2듀오 : E7400, E8400 코어2쿼드 : Q8300, Q8400, Q8400S, Q9505, Q9550, Q9550S, Q9650 박스버전은 2011년 8월 26일까지 주문이 가능하고, 트레이 버전은 2012년 2월 10일에 선적이 중단. 코어 i5-750도 2011년 8월 26일에 주문을 중단한다는듯. 45nm 제품의 퇴장으로도 볼 수 있겠지만, E5400은 E5700, E6500은 E6700, E7400은 E7600, E8400은 E8500, 으로 이미.. 2011. 2. 9.
인텔, 셀러론 프로세서 2011년 단종. http://www.digitimes.com/news/a20100709PD220.html 인텔의 저가형 CPU의 상징, 셀러론이 2011년을 마지막으로 단종될거라합니다. 최근 인텔이 자사의 노트북 파트너들에게 점차적으로 셀로론 프로세서의 생산량을 줄일 것이며, 그 대신 펜티엄과 듀얼코어 아톰 N시리즈가 대신 할 것이라고 알렸다네요. 셀러론 브랜드의 시장철수는 2011년으로 예정되어있다고. 현재 생산 중인 셀러론 프로세서 목록입니다. P4500, U2300은 32nm, 723은 65nm, 나머지는 45nm 공정입니다. 9월말에는 P4600(32nm), T3500(45nm)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데스크탑에선 유일하게 E3000 시리즈가 남아있는데, i 시리즈로 대체될듯합니다. 펜티엄4까지는 성능도 저가형이었.. 2010. 7. 10.
인텔, 구형 cpu 단종. http://news.mydrivers.com/1/168/168809.htm 단종 제품은 다음과 같아요. - 상반기 Q8200 Q8200S E5200 N270/Z500 아톰 330/230 i7 920 E2210 Q9300 E6300 - 하반기 E3200 3/4분기 Q8400 4/4분기 E5400 내년 1/4분기 보통 단종하면 다음 분기쯤엔 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들어집니다. 2010. 7. 6.
인텔 Light Peak 기술. 예전에 이런 기사가 있었지요. http://www.bit-tech.net/news/hardware/2010/04/13/rumour-no-intel-chipset-with-usb-3-until-20/1 정리하면, 인텔측에선 usb3.0 과 sata3.0 을 표준 규격으로 칩셋에 포함하지 않는다는것. 즉 공식 지원을 안 한다는 말. 마벨 nec 비아 리얼텍 같은 컨트롤러 칩셋 제조자에서 만든 관련 칩 + pci-ex 레인을 활용해서 지원이야 할 수 있으니까 못 쓰는일은 없을듯. 6시리즈 칩셋은 usb3.0 지원은 없고, sata3.0은 지원될 '수'도 있다는게 중론이다. usb3.0 지원 얘기가 없는게 인텔이 지금 밀고 있다는 Light peak 인터페이스와 연관이 있는듯도하다. 광섬유케이블 기반 기술이라는.. 2010. 7. 5.
인텔 Anaphase Technology 시연. http://newsroom.intel.com/docs/DOC-1058#4 이건 독일어라 구글번역신의 도움을 안 받을 수가 없네요. 멀티코어 프로세서 상에서 싱글쓰레드 프로그램의 성능 향상이 된다네요.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분할해서 멀티코어에서 처리하게 한다는데. SPEC2006이란걸로 벤치 돌려보니 약31~41% 향상이 있었다네요. 차후에 IMCM(Inter-Core Memory Coherency Module) 형태로 CPU에 통합된다는데, 기술적 완성도가 문제지 요즘처럼 CPU 설계도 모듈화되가는 상황에서 통합자체가 문제는 안되죠. 새 컴파일러와 하드웨어 조합이 필요하다는걸로 봐선 시장에서 보려면 시간 좀 걸리겠네요. CPU는 점점 멀티코어를 향해가는데 소프트웨어의 멀티쓰레드 지원은 지지부진하니까 하.. 2010. 7. 5.
인텔 32nm 모바일 프로세서 공급 부족. http://news.mydrivers.com/1/164/164296.htm http://news.yahoo.com/s/pcworld/20100423/tc_pcworld/shortageofpopularintelchipsthreatenslaptoprollouts 올해 3월에 발표된 Arrandale 코어의 공급이 부족. Arrandale 코어 = 인텔 32nm 모바일 듀얼코어. Arrandale 대부분이 부족하며, 특히 제일 잘 팔리는 i3 330M, i3 350M, i5 430M은 매우 부족. 인텔에선 32nm 공정 fab을 늘려가고 있으며 2사분기쯤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 - 저 두 기사말고도 이제까지 수차례 관련 기사들이 나왔습니다. 물론 인텔의 예상보다 수요가 많은게 주원인이겠지만, .. 2010. 7. 5.
컴퓨팅 시장의 규모는 5년후 6억대가 될것이라 인텔이 예측.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kaigai/20100512_366386.html 이런저런 얘기가 많이있는데 중간에 공정 얘기만 쓰겠습니다. 인텔의 강세의 배경에는 프로세스 기술의 우위가 있다. 인텔은 현재 High-K/Metal Gate 트랜지스터 칩을 대량생산하는 유일한 업체이다. 아래는 40~45nm 프로세스의 인텔과 타사의 트랜지스터 성능을 드라이브 전류량으로 비교한 차트이다. 학계에 논문발표된 수치를 바탕으로 작성. 45nm나 40nm같은 프로세스 노드 수치(생산 공정 수치)자체에는 의미가 없고, 퍼포먼스(성능), 링크전류, 디바이스피치로 비교해야한다는 것. 위 차트는 일정수의 다이를 출하하는데까지 걸리는 기간을 나타낸 것. 32nm세대에는 같은 수의 .. 2010.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