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폰/삼성 SAMSUNG187

ISSCC 2013 삼성 세션 정보 (엑시노스5 옥타) http://techon.nikkeibp.co.jp/article/EVENT/20130220/266913/?ST=p_bizboard http://www.anandtech.com/show/6768/samsung-details-exynos-5-octa-architecture-power-at-isscc-13 아직 pcwatch에서 정보가 올라오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확보된걸 올리겠습니다. 앞으로 추가 정보가 올라오면 갱신될겁니다. - ISSCC 2013에서 삼성이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엑시노스 관련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28nm High-K Metal gate heterogeneous Quad-core CPUs for high performance and energy-efficient mobile .. 2013. 2. 21.
갤럭시S2 플러스 사양. (Broadcom BCM28155) Samsung GALAXY S II Plus http://www.samsungmobilepress.com/2013/01/10/Samsung-GALAXY-S-II-Plus 갤럭시S2 플러스가 발표됐습니다. 탑재되었다는 브로드컴(Broadcom) BCM28155 의 성능을 살펴보고, 갤럭시S2 와 비교해보겠습니다. 디자인은 렌더링 이미지나 사진만 봐서는 확신할 수 없지만 갤럭시S2 와 같다고봐도 무방한 수준. 스펙상의 크기, 무게는 똑같습니다. (갤럭시S2 플러스 사양) 아래의 갤럭시S2 사양과 비교하면 AP 제외하고 완전 같다고해도 무방한 수준입니다. 내장 메모리가 16GB에서 8GB로 줄어든건 아쉬울 수 있는 부분. (물론 사양표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을수도 있겠지요.) (갤럭시S2 사양) (.. 2013. 1. 12.
삼성 CES2013 - 엑시노스5 옥타 (엑시노스5410 ??) Samsung CES2013 - Exynos5 Octa 삼성이 CES2013 키노트에서 엑시노스5 옥타를 발표했습니다. 빅리틀 쿼드코어를 개발 중이라는 것은 익히 알려져있었습니다만, 옥타코어로 발표하는 것은 무리가 아닌가 싶었는데 그렇게 했네요. 키노트는 크게 3부분이었습니다. 프로세서 - 엑시노스5 옥타. 그린 컴퍼넌트 - SSD, LCD 등 저전력 제품. 디스플레이 - 플렉시블 OLED 키노트 중간에 박수와 환호가 제법 있었고, 충분히 그럴만한 내용이었습니다. (환호는 같은 사람이 계속 지르는 것 같았지만요.) 특히 플렉시블 OLED 접는 모습은 (호들갑 좀 떨어보면) 하드웨어 혁신이 주는 충격이 뭔지 느끼게하는 부분. 물론 여기서는 AP에 대해 얘기할겁니다. 디스플레이 얘기는 언젠가 할 날이 있겠지.. 2013. 1. 10.
삼성 엑시노스 4412, 4210 다이 비교. Exynos 4210 45nm 공정. 118.8mm2 좌측 하단에 Cortex-A9 듀얼코어. 우측 하단이 Mali-400MP4 로 보입니다. 중앙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가 버텍스 쉐이더고 각 모서리 방향의 4부분이 픽셀 쉐이더인듯. Exynos 4412 32nm 공정. 78.26mm2 좌측 하단에 Cortex-A9 쿼드코어. 쿼드코어 좌측 하단 영역이 넓은데, (확실하지는 않지만) 비동기식 DVFS 때문이지 아닌가 싶습니다. 우측 하단은 Mali-400MP4 로 보입니다. (동일축척 비교) 다이사이즈는 118.8mm2 에서 78.26mm2 으로 감소했습니다. 34% 정도 줄었지요. 동일 공정이었던 A5 에서 41%가 감소했는데(45nm -> 32nm) 그에 비하면 감소율이 작습니다. 듀얼코어에서 쿼.. 2013. 1. 3.
엑시노스5 쿼드 사양 추정. (Exynos5 Quad)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20121205_577356.html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kaigai/20121031_569691.html 엑시노스 5440 이라는 이름이 나타나면서 엑시노스5 쿼드가 어느 정도 윤곽을 나타났지만 구체적인 사양은 아직까지 불명입니다. 지금까지의 정보로 추측해보겠습니다. 추측할 부분은 크게 3부분입니다. 1. big.LITTLE 여부, 코어 구성. 2. GPU 3. 용도에 따른 사양 차별화의 가능성. 1. CPU (1) big.LITTLE 여부.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big.LITTLE(이하 빅리틀) 구현 방식은 3가지입니다. (ARM big.LITTLE Processing .. 2012. 12. 15.
엑시노스5 쿼드(엑시노스 5440?)는 3월 이후 출시. http://isscc.org/program/index.html 반도체 회로 설계 컨퍼런스인 ISSCC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 Conference) 2013 이 2월 17일~21일에 열립니다. 이번 프로그램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28nm High-K Metal gate heterogeneous Quad-core CPUs for high performance and energy-efficient mobile application processor (samsung electronics) 정황상 엑시노스5 쿼드코어입니다. 기존에 알려진 엑시노스 5450 이 아니라 엑시노스 5440 이라는 정보도 나왔는데, 사실 이름이 크게 중요한건 아니고요. 2.. 2012. 11. 26.
Exynos 5250 정보/성능 분석. 엑시노스 5250 이 구글 크롬북, 넥서스 10 에 탑재되면서 시장에 나타났습니다. 갤럭시S3 탑재설 때부터 지금까지 기간을 생각하면, 시장의 기대에 비해 대단히 늦게 나왔네요. 증권가 찌라시라고 알려진 내용에서는 엑시노스 5250 의 크롬북 탑재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 엑시노스 5250 의 성능이 매우 높아서 엑시노스 4412 탑재 제품의 팀킬이 우려된다. - 그래서 선택한 것이 크롬북. - 성능은 과시할 수 있으면서 팀킬 우려가 없기때문. (신용도는 반신반의입니다.) (크롬북 보드) 여기서는 램이 따로 있지만, 스마트폰용의 PoP 패키징도 있겠지요. (http://www.powerbookmedic.com/wordpress/2012/11/16/google-nexus-10-take-apart-fir.. 2012. 11. 17.
Samsung GT-I9105 스펙. (Galaxy S2 Plus 추정)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Samsung+GT-I9105&testgroup=overall 갤럭시 S2 플러스 로 알려진 GT-i9105 의 정보입니다. SGX544MP 로 표시되지만, (뒤에서 다루겠지만) 테스트 결과를 봐서는 그냥 SGX544 인듯 합니다. ICS인데 실제 나올 때는 젤리빈이겠지요. 나올지 어떨지 모르겠지만... 해상도 960 x 540 CPU 클럭 1.5GHz 종합해보면, OMAP 4470 같네요. OMAP4470 이나 르네사스 MP5232 같은데, 후자 쪽으로 좀 기웁니다. (Cortex-A9 dual core 1.5GHz, SGX544 ; http://www.imgtec.com/corporate.. 2012. 9. 11.
해외판 갤럭시 노트2 스펙. http://www.glbenchmark.com/phonedetails.jsp?benchmark=glpro25&D=Samsung+SGH-I317&testgroup=system 모델명이 SGH-i317 입니다. 모델명으로 보아 미국 AT&T 용인 것으로 보이는데 확실한건 나와봐야 알겠지요. (AT&T 갤럭시 노트가 SGH-i717) 공개 스펙과 동일한 엑시노스 4412 1.6GHz 입니다. 해외판 제품의 AP가 엑시노스라는건 여러가지를 의미합니다. - LTE 지원일텐데, 베이스 밴드칩(BP)으로 삼성 CMC221S 가 사용되었을 것 (삼성 CMC221S (한국판 갤럭시S3 LTE 탑재)) - (국내(한국) 출시 제품 의외에) 미국 판매용으로 추정되는 제품에 자사의 BP 가 사용되었다는건, 해외 출시 제품에.. 2012. 9. 6.
삼성 갤럭시 노트2 디스플레이 분석. 삼성 모바일 언팩 2012 (베를린) 에서 갤럭시 노트2 가 발표되었습니다. 스펙은 미묘합니다. 모든 부분에서 나아진건 사실인데, 그렇게 임팩트를 주는 부분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발표 자체도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을 강조했지요. - Galaxy Note 2 GT-N7100 - - CPU : 엑시노스 4412, Cortex-A9 기반 1.6GHz 쿼드코어. 갤럭시S3 에 들어간 동종의 AP 클럭이 1.4GHz 였습니다. 갤럭시S3 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커졌기때문에 고클럭 버전이 적용된 것 같기도 합니다. 갤럭시S2 와 갤럭시 노트의 AP 클럭, 배터리 용량 관계도 이와 같았지요. - GPU : Mali-400MP4 533MHz 스펙적인 부분은 이전에 GLBenchmark 에서 다 유출되었습니.. 2012.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