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신/단신

팹리스 파운드리 단신. (2024.05.20. 삼성, 퀄컴, 애플, 구글)

gamma0burst 2024. 5. 20. 22:16
반응형

 

 

- 퍼갈 때 2차 출처 표시바람.

 

 

- 삼성

S5E5535 (codename Sapphire) = Exynos W1000 ?

SM-L305는 미발표 제품인 갤럭시 워치7의 모델명으로 알려져있음.

여기에 차기 웨어러블 SoC인 S5E5535 탑재가 유력한데 엑시노스 W1000 이라는 모델명이 확인됨.

 

 

- 퀄컴

SM6650, 코드네임 Milos

CP90 코드나 패키지 정보가 아직 없어서 어떤 제품인지 확인하려면 추가 정보가 필요.

 

SXR2330P / SXR2350P, PSP1839, 코드네임 Matrix

퀄컴의 차기 XR칩.

 

SF2P, N3E 공정 사용.

 

 

- 애플

앰코 M5향 패키지 대응 공정 중.

3nm 공정 칩렛 SoC 관한 내용은 M3나 M4에 해당하는 내용일 수도 있어서 M5 공정이 3nm인지는 불명.

SoIC, LSI 모두 TSMC의 패키지 기술인데 앰코가 OSAT이고 TSMC도 포함된 3DFabric Alliance에 가입되어 있으니 거기에 대응하는게 이상하진 않음.

LSI는 M1 때부터 이미 적용되던 기술이라서 특이할게 없는데 문제는 SoIC임.

M3, M4 후공정 정보는 아직까지 알려진게 없는데 만약 여기에 SoIC가 적용되지 않았다면 M5는 3nm 공정이고 SoIC 적용이라는 해석이 가능함.

 

 

(https://ko.ifixit.com/News/96021/ipad-pro-13s-hide-a-repairability-win-still-hard-to-fix)

최근 애플 M4 사양 아이패드 프로 분해에서 확인되는 실제 탑재 램 용량이 12GB인데 사양, 실사용 용량은 8GB인게 이슈가 됐음.

FBGA 코드가 Z8DMS인데 이걸 마이크론 공식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면 MT62F768M64D4AS-026 XT:B로 확인됨.

(https://my.micron.com/sales-support/design-tools/fbga-parts-decoder)

 

마이크론 파트넘버 디코더에 따르면

MT : Micron

62 : LPDDR5

F : 1.05V VDD, 0.5V VDDQ

768M64 : 768Mbit x64 = 6GB

D4 : 4 Die stack

AS : DRAM Package Code

026 : 클럭정보

XT : Wide Temperature

B : Die Revision

 

다이 마킹이나 홈페이지 정보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은 낮아서 4GB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해석하는게 더 중요해보임.

가격때문에 선택했다는 해석도 있지만 그렇게 보기 어려움.

아무리 애플이 대량구매로 구매 가격을 낮춘다해도 6GB 램이 4GB 램보다 싸다는건 불가능함.

 

(https://www.techinsights.com/blog/new-ipad-pro-models-one-m4-rule-them-all)

1TB 모델의 램은 D8DNV = MT62F1G64D4AS-026 XT:C

1G64 = 8GB

표시 스펙대로 딱 맞게 들어가있음.

 

4GB가 다른데 할당됐거나 향후 온디바이스 AI 대응을 위해서라고 추측해볼 수 있는데

구글에서 온디바스 AI 제대로 쓰려면 램이 12GB는 되어야하고, 일부 기능은 램에 상주하는게 좋다고 했음.

이걸 기반으로 가설을 세워보면 다음과 같음.

 

향후 온디바이스 AI를 지원할 예정인데 그에 대한 사전작업으로 12GB 탑재하고 8GB만 사용 가능하게 두었음.

있는 그대로 12GB로 쓸 수 있게 해놨다가 나중에 업데이트로 AI 기능이 추가되면서, '앞으로 4GB는 AI를 위해 할당되어서 8GB만 사용 가능하다.'고 공지하면 엄청난 논란이 일어날게 분명함.

그래서 그런 불필요한 이슈를 만들지 않기위해 이런 식으로 사전 대응해놓았을 가능성이 있음.

그동안 M칩 발표할 때 다이샷을 과감하게 공개해왔는데 이번에 그러지 않은 것도 당장 쓰지도 않는데 들어가있는 AI 관련 블록의 노출을 꺼렸기때문일 가능성이 있음.

 

다만 이 가설의 경우 16GB 모델에서는 왜 할당영역을 두지 않았느냐가 깔끔하게 설명되지 않음.

굳이 끼워맞추자면, 16GB는 램 용량이 여유로워서 4GB를 할당해도 사용에 문제가 없지만

8GB로 셋팅할 경우 4GB가 할당되면 남는 4GB로 사용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고

12GB를 그대로 다 쓰게할 경우 16GB 제품과의 차별이 약해져서 12GB를 탑재하고 실사용은 8GB 막는 셋팅을 했다고 볼 수 있음.

 

 

- 구글

구글 3nm CPU 클럭 5.1GHz

클럭이 높아서 텐서G5는 아닌 것으로 보이고 알려진 제품으로 한정한다면 액시온(Axion)일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을듯.

물론 미발표 제품일 가능성도 있음.

2.6GHz는 인텔 AIB 2.0 내용으로 보이는데 알려진 스펙이 2.0~6.4Gbps이라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엮이는건 잘 모르겠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