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긱벤치3에 스냅드래곤620/618로 추정되는 제품의 결과가 올라왔습니다.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2826004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2401309
링크 :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2915401
본문에서는 각 제품을 스냅드래곤620/618/616 으로 지칭하겠지만, 사실 정확한건 아니고 가칭입니다.
실제 출시되는 제품은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정보
결과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싱글점수 1500점대, 700점대
1500점대 시스템 정보를 보면,
variant 0 part 3336 revision 0 -> Cortex-A72 r0p0
8코어
램 3GB
700점대 시스템 정보는,
variant 0 part 3331 revision 4 -> Cortex-A53 r0p4
1.516GHz
8코어
램 2GB
둘 다 MSM8952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유출 사양
전에 스냅드래곤620/618 사양이라고 올라온 내용입니다.
스냅810/808 관계를 봤을 때, MSM8976이 스냅620, MSM8956이 스냅618로 불릴듯 합니다.
여기서는 오른쪽 표의 제품은 스냅616 인듯.
MSM8976은 Cortex-A72 x4 + Cortex-A53 x4 의 8코어 사양. (스냅620)
MSM8952는 Cortex-A53 x4 + Cortex-A53 x4 의 8코어 사양입니다.
스냅615와 같은 HMP 구조입니다. 같은 A53이라도 4코어 클러스터마다 클럭이 다릅니다.
메모리 사양을 보면 스냅620은 LPDDR3 64비트, 스냅618은 LPDDR3 32비트 입니다.
스냅616의 메모리 대역폭이 스냅620의 절반입니다.
이 부분은 아래 벤치마크 결과에서도 나타나는 부분으로 벤치마크에는 모두 MSM8952로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제품이라는걸 확인할 수 있는 증거가 됩니다.
아래 내용이 거의 안 맞아서 그렇지 이름만 뽑아서보면 MSM8952는 스냅616 으로 볼 수 있을듯 합니다.
사양상 스냅615의 후속작이기도 하고.
- 벤치마크 결과
정수 싱글코어 점수의 클럭당점수입니다.
스냅620 A72 클럭은 유출사양인 1.8GHz로 가정했습니다.
스냅620으로 추정되는 제품의 결과는 Cortex-A72 사양인 MT8173과 일치합니다.
메모리 점수까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스냅620 추정 제품의 메모리 사양은 MT8173과 같은 LPDDR3 933MHz 32bit x2 로 추정되고, 이는 위에서 언급한 MSM8976 유출 사양과 일치합니다.
Cortex-A53의 결과를 따로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스냅616 결과는 Cortex-A53 결과와 완전히 일치합니다.
스냅616의 메모리 점수 역시 LPDDR3 933MHz 32bit x1 사양에 맞는 점수를 보입니다.
메모리 대역폭이 스냅620의 절반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메모리 점수가 저렇게 낮게 나왔다는건, 메모리 컨트롤러가 Cortex-A72의 것이 아니라는 증거이고, 메모리 점수가 Cortex-A53와 일치하는건 이 제품의 코어가 Cortex-A53 뿐이라는 증거가 됩니다.
즉, 이 제품은 Cortex-A53 코어로만 구성되었고, 이 제품이 스냅616 일 가능성이 높다는걸 의미합니다.
멀티코어 점수가 상당합니다.
- 정리
1. MSM8952로 올라온 긱벤치3 결과는 스냅드래곤620/616 결과가 섞여있는 것.
기존에도 서로 다른 제품이 같은 제품명으로 긱벤치에 올라온 사례가 있음.
2. 스냅드래곤620
Cortex-A72 1.8GHz x4 + Cortex-A53 x4
LPDDR3 933MHz 32bit x2
MSM8976으로 추정.
3. 스냅드래곤616
Cortex-A53 1.5GHz x4 + Cortex-A53 1.2 x4
LPDDR3 933MHz 32bit x1
- 기존 스냅드래곤810/808을 대체 가능한가.
스냅620의 경우, 긱벤치3 점수를 봤을 때 CPU만 고려하면 스냅810/808을 대체할 수 있는 성능입니다.
문제는 그 외의 성능.
메모리는 LPDDR3 지원에 그쳤습니다.
이를 통해서 퀄컴이 이 제품을 플래그쉽으로 취급하지 않는다는건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냅808 같은 하이엔드급은 가능할 것인가.
유출사양을 그대로 믿는다면 이 역시 애매합니다.
스냅808은 스냅810과 같은 3CA 지원이었지만, 스냅620은 2CA로 알려져 있습니다.
UFS도 미지원인 점 등을 고려하면, 스냅620은 결국 미들레인지 제품에 머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ISP 성능이나 해상도 지원, GPU 사양을 봤을 때는 하이엔드로 취급될 가능성도 보입니다.
유출사양의 신빙성 등의 문제가 있기때문에 현재로는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아무래도 플래그쉽, 하이엔드는 Kryo 기반 제품이 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Kyro가 아니라 Kryo입니다. 그래서 카이로라고 부르는 것도 잘못된거.)
- 정말 28nm 공정인가.
유출사양을 보면 스냅620은 TSMC 28HPm 공정입니다.
이걸 믿는다면 이런 얘기가 됩니다.
'Cortex-A72 1.8GHz는 28nm 공정에서도 Cortex-A57급 성능을 뽑아낼 수 있다.'
사실이라면 굉장한 일이겠지만 가능성이 낮아보이는게 사실입니다.
미디어텍의 Helio X20이 상대적으로 저사양인 Cortex-A72 듀얼코어임에도 20nm 공정을 선택했으니까요.
(링크 : 미디어텍과 퀄컴의 10코어 프로세서.)
스냅620과 비교하면 A72 듀얼코어와 A53 미들 쿼드코어 중 어느쪽의 전력이 더 높느냐를 따져봐야 합니다.
A72 듀얼의 전력이 더 높다면 스냅620은 28nm일 가능성이 낮아지고,
A53 미들 쿼드코어의 전력이 더 높다면 스냅620이 28nm일 가능성이 생깁니다.
그런데 여러 전력측정 자료를 봤을 때, A72 듀얼의 전력이 더 높을겁니다.
클럭당소비전력에서 A72는 A53의 3배 가까이 되는데다가, A72 클럭이 A53 클럭보다 높지요.
코어 수가 절반이라도 A72 듀얼 전력이 A53 쿼드보다 높습니다.
(링크 : Cortex-A72 성능, 전력 자료. (source : 화웨이))
이런 정황을 보면 스냅620이 28nm일 가능성은 한없이 낮아보입니다.
하지만 늘 그렇듯 나와봐야 알 일.
- 2015.07.08. 벤치마크 결과 갱신.
'스마트폰 > 퀄컴 Qualco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퀄컴 스냅드래곤820 (MSM8996) 유출 슬라이드. (40) | 2015.08.09 |
---|---|
스냅드래곤820 (MSM8996) 긱벤치3 초기 벤치 분석. (40) | 2015.07.21 |
스냅드래곤620/618/616 추정 벤치마크 분석. (Snapdragon620/618) (update 2015.07.08) (56) | 2015.07.08 |
퀄컴 스냅드래곤820 사양 및 성능 추정. (Snapdragon 820, MSM8996) (36) | 2015.05.16 |
스냅드래곤 808 벤치마크 분석. (MSM8992, Snapdragon 808, Adreno418) (38) | 2015.05.04 |
퀄컴 Adreno430 벤치마크 분석. (Snapdragon810, MSM8994) (15) | 2015.02.23 |
공정은 확실히 애매하군요..
근데 저 유출된 스펙시트표가 너무 정확하게나온지라
아니라고 보기도 애매하고 참 미묘하네요~ㅋ
일단 ARM발표대로라면
14/16nm에서 A72 클럭을 2.5GHz까지 올릴수 있을것이다라고 말했는데
실제
2.5GHz A72 쿼드 + 1.8GHz A53
조합일시 긱벤치3에서 어느정도 나올것으로 보시나요~?
램은 1600MHz 64비트 듀얼채널 LPDDR4 라고 쳤을때....
답글
멀티는 정확히 모르겠고, 싱글은
정수 : 2272
FP : 1851
메모리 : 2125
해서 총점으로는 2072점 정도로 예상됩니다.
오 높군요~ㅋ
실제로 제품이 나온다면 꽤 볼만할거같네요~
문제는 삼성에서
14nmFinFET의 A72 등장여부겠군요~
분위기만보면 A57 -> A72 -> 몽구스가 아니라
바로 A57 -> 몽구스로 갈거같지만요~
이거때문에 다시보니까 MT8173 플러스(6코어)는 LPDDR4 썼을 가능성도 있어보이네요.
A72에서 LPDDR4 썼을 때 메모리 점수 예상치랑 일치하는 점수.
폰아레나가 흡혈귀왕님이 쓰신 SD820 점수를 인용했네요? 무단전재인가요? ㅋ
A72때문이라도 14/16nm 쓸듯하네요. 이미 820 양산도 14nm로 결정됐는데 14/16nm정도에서 쓰라고 나온 A72코어를 20도 아닌 28nm로 설계하는건 좀 말도 안됨요...
아니면 플래그쉽이랑 차이 둔다면서 20nm로 나올수도 있지만 확실히 28nm는 아닙니다
20nm면 모를까 14/16nm는 절대 아닐거 같네요.
저걸 14/16nm로 뽑을거면 클럭이 1.8GHz에 그치지 않았을겁니다.
스냅600 라인업에 편입된 이상 이건 무조건 미들레인지급이고, 그렇다면 28nm써도 이상할게 없지요.
A57도 20nm로 뽑았는데 A72에 1.8GHz라는 스펙, TSMC 20nm/28nm 성능 차이를 생각하면 28nm도 불가능은 아닙니다.
저기에 쥐퓨만 좋게 달면 올해 플래그쉽도 어느정도 커버 가능할텐데...
그만큼 kryo?가 자신있다는 걸까요...
답글
삼전이 내놓는다는 썰이있는 a53옥타 28nm AP도 GPU는 그닥 좋아보이지는 않더라고요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발표만 빠르고 출시는 삼성쪽이 더 빠른게 아닐까 추측합니다.
사실 정확한건 몰라요.
퀄컴 공식 발표(유출 사양 나오고 얼마 지나지않아서 퀄컴에서 보도자료 뿌렸던 AP라죠. 근데 공정은 안밝혔다는.....)로는 스냅620의 GPU가 4K 미지원이기에 이론 상 지원한다고 밝힌 Adreno 418보다 낮은 물건을 박을 것 같던데 말이죠... GPU만 어찌하면 최소 해볼만할텐데 말이죠....ㄷㄷ
답글
4K 지원 맞습니다.
https://www.qualcomm.com/products/snapdragon/processors/620
그 뭐냐... 항목 중에 비디오 말고 아래 디스플레이에 있는게 2560 x 1600으로 나왔는데 이거 2K WQXGA 해상도 아닌가요?? Adreno 418 보면 해당 항목에 4K라고 언급이 되어있긴 한데....
https://www.qualcomm.com/products/snapdragon/processors/808
...그냥 제가 잘 못 이해한 것일 수도 말이죠...ㄷㄷ
정확히는
4K 영상 재생과
4K 촬영을 지원하고
4K 디스플레이는 지원안하는 구조~?ㅋ
이건 제가 착각했네요.
4K는 UHD였지요.ㅋㅋㅋ
공정이야 생각해보면 그냥 소비전력 문제가 결함품 수준인 810의 출시 조차도 강행한걸 보면 그냥 깡으로 밀어 붙일 가능성도 없어보이진 않습니다.
답글
긱벤치 결과보면 안정적으로 나오고 있으니까요.
28nm에서 굴릴 수 있을정도로 A72이 좋든가, 공정이 최소 20nm든가, 개발플랫폼이라 발열처리가 잘 되든가.......
스냅810 문제는 공정때문으로 보기힘들기때문에 이번건을 판딘하기위한 재료로는 안 맞는듯.
전 저 leaksfly발 스냅정보는 못믿겠더라고요... 현실과 틀리거나 틀리게될 부분이 너무 많아요
답글
그래서 가칭만 따온거지요.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최근에 꾸준히 펜 얘기가 나오는데 잘 공감이 안 가더군요.
그게 소비자의 선택 여부을 결정할만한 요소가 아닌데...
tsmc자료상으론 20nm은 28nm hpm보다 전성비가 고작12.5%정도 좋은수준아닌가요? 듀얼코어라면 가능하것죠.. 20nm 2.0 a57이 1.8ghz a72 20nm보다 전성비가 좋다보기 힘든데 거기다 쿼드vs듀얼이니 충분히 가능하리라봅니다.. a72라면
답글
스냅620 사양이 A72 쿼드코어.
TSMC 자료가 좀 오래전거긴한데 그 기준이라면 A72 1.8GHz 쿼드도 가능하긴 합니다.
이제와서 발열이 없고 a72 + a53옥타를 미들로 돌리는거보면 kryo?가 상당히 좋다는 증거겠지요?
그런대 4000점대면 hmp미지원인가요?
답글
A72보다는 좋다는 판단이 있겠지요.
사양봐서는 HMP 지원같습니다.
HMP인거에 비해 점수가 좀 낮은데, 초기벤치라 점수가 낮은걸수도 있고, 원래 저정도라면 발열이 제법 있다는 얘기가 되니 진짜 28nm 일지도 모르겠네요.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다른 아키텍처와 비교하면 성능대비 점수가 좀 낮다싶은게 있네요.
얼마나 나아질런지...
비밀댓글입니다
kryo는 사양이 벌써 전성비 컨셉이라고 말하는거나 다름없으니까요.
그에 반해 몽구스는 빅리틀 갈 가능성이 높고요.
(약간 오버해서 빅리틀 마스터 삼성.)
피크성능, 배터리 타임 둘 다 잡을 수 있는 솔루션을 놔두고 굳이 전성비선택해서 어중간하게 갈 이유가 없을듯.
비밀댓글입니다
810 뒤에 나오면 뭐가 나와도 괜찮아보일거 같네요.
제조사 영향도 있을듯 하고요.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 네이밍은 음...... 그게 아닙니다.
- 높으신 분들의 선택이라고 보기에 합리적인 면이 있습니다. (물론 甲 입장에서)
비밀댓글입니다
아난드텍에 엑시노스 7420 심층분석이 떴는데 그거 보니깐 A57 4코어 클러스터 전력소모량을 5W대로 억제시켰더라고요... 이걸로 A72 코어랑 전성비 비교자료도 만들수 있을거같던데 혹시 분석해주실수 있나요?
답글
비교할 수는 있는데, A72 전성비 자료는 저클럭 RTL 기준 밖에 없어서 실제품 측정치인 A57 하고 제대로 된 비교가 될런지 모르겠습니다.
그 자료를 보고나니 미들코어는 반짝하고 사라질거 같더라구요.
a72정도면 미들영역까지 전부 커버하고도 남지 싶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도 기술만 있으면 굳이 미들코어를 쓸 필요가 없지요.
820 초기 밴치가 떳습니다.
http://news.mydrivers.com/1/437/437077.htm
싱글이 1.4ghz라는걸 감안해도 생각보다낮은것같습니다?
3ghz를 그대로 받아들인다고해도 1400점?? 뭔가 이상합니다...
답글
시코에 썼던걸 그대로 옮기겠습니다.
결론만 말하면 이번건 kryo 성능을 추정하는데 아무 도움이 안 되는 점수입니다.
-
1.46GHz로 나왔는데 이걸 기준으로 클럭당정수점수 계산하면 1GHz에 530점입니다.
이거 A53보다도 낮은 점수입니다.
A53이 600~660점/GHz 나옵니다.
1.46GHz 기준으로 잡은건 스냅에 아주 유리하게 해석한겁니다.
듀얼클러스터 가정하면 고클럭쪽은 저거보다 클럭이 높은 가능성이 더 높거든요.
좋게 해석해준게 테스트용으로 4코어 동클럭 설정했다고 보는거.
게다가 메모리 점수 싱글이 270점대입니다.
LPDDR4 사양이 확실한 상황에서 이건 말도 안 되는 점수.
A53이 LPDDR3 싱글채널쓰고도 최소 650, 최대 890 까지 나옵니다.
이건 저클럭 모드라고 해도 말도 안 되는 점수입니다.
저클럭 모드라고 보는 것조차도 틀린 해석.
이번 유출을 그대로 믿으면 퀄컴은 A53만도 못한 놈을 커스텀이랍시고 만든겁니다.
이럴거면 그냥 A53 쓰고 말지 뭣하러 커스텀합니까.
그러니 신뢰도가 전혀 없는 점수라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나면...
갱신된 결과가 상당히 높은 결과네요...
문제는 이 제품이 올해 나오냐 마냐와
20nm인지와 28nm인지가 문제겠죠...
내년에 나오면 뭐.....원래 나오기로 한놈이 나오는거 밖에 안되니....
답글
810이 멀티 4000점대인데 하위 라인업인 620이 4900점대...
사실상 810은 없는 놈 취급해야 합니다.
많이 늦었지만 질문 하나 드릴게요.
엑시노스 5420 vs 애플 A7 어떤게 더 우수하나요? Cpu gpu에서요
답글
벤치마크 기준으로 보면 이정도 입니다.
CPU : 싱글코어 A7 우세, 멀티코어 5420 우세.
GPU : 동급
옆동네 얘기지만 포스팅소재라면... 예전처럼 모바일 GFX 벤치 그래프에 모바일 CPU 긱벤치3 비교해주세요!!
답글
회사대신 월급 주시면 그만큼 시간 투자할 수 있습니다.ㅋㅋㅋ
(그 때는 백수)
본가 누구 생일이라서 갑자기 생각난 포스팅 소재인데 아이마스 본가애니 분석글(...)써주시는거 어떤가요? 요즘 그런류의 분석글이 뜸하기도 해서...
답글
그 쪽은 위키보는게 더 자세할겁니다.
그만한 근성과 시간이 저에게 남아있다면 일단 모스펫 강좌부터 쓸듯.ㅎㅎ
A72 코어 정도면 성능이 1.3 정도만 해도 좋을거 같은데 이러면 전력차이가 많이 나나요 ? 유저가 임의로 다운클럭을 할수 없나요?
답글
A72 아키텍처의 포지션을 생각하면 저클럭은 오히려 이도저도 아닌 제품이 되게 하는 선택이 될듯 합니다.
성능이 미들레인지 라인과 경쟁하는되는데 전성비나 원가에서는 불리하기때문에 메리트가 없지요.
넥서스5 2015의 루머가 한창 돌고있을때, 벤치마킹점수는 그럼 거짓이라는 건가요?
620으로 출시되는게 820으로 출시되는것보다 훨씬 안좋은가가 궁금하네요.
답글
안투투 점수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안투투 점수나 스크린샷은 조작이 많이 나옵니다.
믿을 수 있는 경우가 오히려 적을정도.